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올해 2분기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3.3%로 떨어졌다. 외환위기를 겪던 1998년 1분기(-6.8%) 후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한국 경제를 떠받치는 수출 증가율이 역대급으로 낮아진 데 따른 것이다.
한국은행은 23일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이 447조8944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3.3% 줄었다고 발표했다. 전 분기(-1.3%)에 이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이어갔다. 성장률이 이처럼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카드사태'를 겪던 2003년 1·2분기(각각 -0.7%, -0.2%) 후 처음이다.
코로나19로 수출과 설비투자가 급감한 영향이다. 수출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16.6%를 기록했다. 이 같은 증가율은 1963년 4분기(-24%) 후 가장 낮았다. 수출이 급감하자 기업들의 투자도 줄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각각 전분기 대비 1.3%, 2.9% 줄었다. 민간소비는 정부가 5월에 긴급재난지원금을 푼 효과로 1.4% 증가했다. 전분기(-6.5%) 대비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올 2분기 성장률을 끌어내린 것은 부진한 수출이다. 코로나19가 전세계에 확산된 데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도 깊어지면서 교역량이 급감한 여파다. 세계무역기구(WTO)는 올해 아시아지역의 세계무역 규모(실질 기준)가 전년 대비 13.5~36.2%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수출의 감소는 결국 제조업의 위기로 이어진다. 성장률을 생산활동별로 살펴보면 이 같은 제조업의 부진이 오롯이 드러난다. 제조업 생산 증가율은 -9%를 기록해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63년 2분기(-10.4%) 후 가장 낮았다.
제조업이 부진한 징후는 곳곳에서 드러났다. 통계청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5월 전(全)산업생산은 4월 대비 1.2% 감소했다. 올 들어 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2000년 8~12월 이후 20여 년 만의 최장기간 감소다.
제조업 생산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9.8% 급감한 98.0으로 집계됐다.설비투자도 자동차 등 운송장비 투자(-16.1%)가 크게 줄면서 5.9% 감소했다. 제조업의 출하 대비 재고 비율을 의미하는 재고율은 128.6%로 외환위기 때인 1998년 8월 이후 가장 높았다. 수출길이 막히고 재고가 쌓이면서 기계를 들여놓는 등의 설비투자가 대폭 줄어든 것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