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300538.1.jpg)
윤 위원장은 최근 자본시장의 가장 큰 현안 중 하나인 공매도 폐지와 관련해 “공매도는 여러 안전장치를 둬가며 제도를 손봐온 만큼 제도 자체는 유지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며 “시가총액이 일정 기준에 미달하는 종목은 공매도를 금지하는 등의 보완책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홍콩거래소는 시가총액 30억홍콩달러(약 4700억원) 이상의 종목에 공매도를 허용하고 있다. 지난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주가가 폭락하자 금융당국이 6개월간 한시적으로 공매도를 금지하면서 공매도 폐지 논란이 촉발됐다.
당장 오는 9월 공매도 재개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윤 위원장은 “일단 진정세를 보이고 있는 주식시장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연장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정무위에서는 공정거래법 전면 개정, 사모펀드 규제,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허용 등을 두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계에서는 176석을 확보한 민주당의 ‘일방통행’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윤 위원장은 공정거래법 전면 개정에 대해서는 단호하다. 그는 “공정거래법을 손질하는 데 반(反)기업적이라는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법 취지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라며 “다만 대기업들이 과도한 불안감을 느끼는 일이 없도록 나부터 기업인과 소통하며 불필요한 오해를 줄이겠다”고 했다. 최근 잇단 사모펀드 환매 연기 사태와 관련해서는 “투자자 보호에 필요한 안전장치를 보완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CVC에 대해선 “기업인의 사금고로 이용될 수 있다는 부작용과 벤처생태계 육성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성공적인 규제 혁신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윤 위원장은 “일하는 국회의 모범 상임위로 운영한다는 원칙 아래 열린 자세로 야당과 소통하고 타협·조정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 약력
△1960년 서울 출생
△서울 보성고
△한양대 언론정보학과
△민주당 부대변인
△인천시 대변인
△민주통합당 원내대변인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 부의장
△더불어민주당 제5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최고위원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19·20·21대 국회의원
△21대 국회 전반기 정무위원장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