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9년 지방공기업 결산 결과에 따르면 405개 지방공기업의 당기 순손실은 1조2791억원으로 2018년 4936억원보다 159.2% 증가했다.
상·하수도 공기업의 순손실이 1조4105억원으로 전년비 29.8% 늘었다. 지방 상수도의 경우 지난해 6월 인천과 서울 일부지역에서 '붉은 수돗물' 사건이 발생하자 노후된 시설을 앞당겨 교체하는 등 비용이 늘어난 영향이다. 비용은 늘었지만 수도요금을 올리지 않으면서 80%대 초반을 유지해오던 상수도 요금 현실화율(생산·처리 원가 대비 요금)은 지난해 79.1%로 떨어졌다.
'만년 적자'인 도시철도공사의 순손실 폭은 더 커졌다. 지난해 1조756억원으로 전년비 2% 늘었다. 무임승차에 따른 손실이 증가하는 반면 지하철 요금을 올리지 못하는 구조적 요인에 따른 것이라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도시개발공사는 당기순이익 7451억원을 냈으나 이익 규모는 전년도보다 22.8% 감소했다. 임대주택의 분양 수익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영향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상·하수도와 철도 부문의 공사들은 서민들의 생활에 밀접한 사업을 하고 있어 이익구조가 취약할 수 밖에 없다"며 "올해는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위축으로 더욱 민생과 관련한 공공요금을 인상하기 어려운 만큼 내년에도 상당폭의 적자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405개 지방공기업 전체 부채비율은 지난해 34.4%로 전년도보다 2.9%포인트 개선됐다.
자산이 205조원으로 11조5천억원 증가했고 부채는 52조5천억원으로 661억원 감소했다.
지방공기업의 재무 건전성은 개선되는 추세다. 2016년 57.9%였던 405개 공기업의 부채비율은 2018년 37.3%, 2019년 34.4%로 하락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