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32조9189억원으로 전년(32조8030억원) 대비 0.4% 늘었다. 2016년(3.9%) 후 3년 만에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한 것이다.
북한은 2016년 11월부터 이어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경제제재의 영향으로 2017년(-3.5%), 2018년(-4.1%)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유엔 안보리가 2016년 11월 북한의 주력 수출품목인 석탄을 비롯한 광물 수출을 막는 내용의 대북 결의안 2321호를 채택한 영향이 컸다. 2018년의 경우 폭염 여파로 곡물 생산이 감소하는 등 흉작을 겪으면서 극심한 가뭄으로 대규모 기근에 시달린 1997년(-6.5%) 후 최악의 경제 상황에 직면하기도 했다.
지난해 북한 경제가 회복세로 돌아선 것은 농림업(1.4%)과 건설업(2.9%) 생산이 전년에 비해 늘어난 덕분이다. 이동원 한은 국민소득총괄팀장은 "극심한 가뭄을 겪던 2018년에 비해 작년의 작물이 늘어나는 등 농림업의 경우 기저효과가 작용했다"며 "관광지구 개발과 발전소 공사가 늘면서 건설업 생산도 불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최대 관광단지인 원산갈마지구 개발 등에 전력을 쏟고 있다.
하지만 북한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9.6%에 달하는 광공업 생산은 0.9% 감소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생산량이 감소했다. 지난해 북한의 대외교역(수출·수입)은 32억4000만달러로 전년(28억4000만달러)에 비해 14.1% 늘었다. 안보리의 비(非)제재 품목인 시계임가공 제품의 교역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북한의 지난해 시계·부품 수출은 전년에 비해 57.9% 늘었다. 신발·모자·가발 수출도 43% 증가했다. 남북한 국민소득 격차는 더 벌어졌다. 북한의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140만8000원으로 추정된다. 한국(3743만5000원)의 26.6분의 1 수준이다. 2018년에는 26분의 1 수준이었다.
지난해 반짝성장세를 나타낸 북한의 올해 성장세는 어둡다.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에 따르면 올해 북한 경제성장률은 -6%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1997년(-6.5%) 후 성장률이 최악으로 치닫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이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만큼 북한 경제도 치명타를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