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397266.1.jpg)
호암재단은 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호암상 운영 방안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호암상을 총 6개 분야로 나눠 시상한다는 게 골자다. 공학상, 의학상, 예술상, 사회봉사상에 과학상 물리·수학 부문과 화학·생명과학 부문이 더해진다.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순금 50돈으로 제작한 메달, 3억원의 상금 등을 준다. 과학상 분리 시상으로 전체 상금 규모가 15억원에서 18억원으로 늘어나게 됐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398920.1.jpg)
과학상의 확대 개편 배경엔 이 부회장이 있다는 게 재단 측 설명이다. 이 부회장은 공학과 의학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초과학 분야 지원을 확대할 방법을 고민하다가 과학상을 두 부문으로 나눠 시상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부회장은 호암상 설립자의 가족 자격으로 호암상이 제정 취지에 따라 잘 운영되도록 후원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395178.1.jpg)
기초과학 분야를 더 배려하는 호암상 시상 확대 제안은 이 부회장이 강조하고 있는 ‘동행철학’과 일맥상통한다는 게 삼성 측 설명이다. 삼성이 100년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가 함께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 동행철학의 핵심이다. 이 부회장은 최근 공식 석상에서 사회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자주 전했다. 지난 1월 삼성전자 사장단 간담회에서는 “우리 이웃, 우리 사회와 같이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자 100년 기업에 이르는 길”이라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395194.1.jpg)
올해는 김수봉 성균관대 기초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과학상)과 임재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공학상), 박승정 울산대 석좌교수(의학상), 김민기 극단 학전 대표(예술상) 등 총 5명을 선정했다.
삼성은 호암상 외에도 과학 분야를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13년부터는 물리와 수학 등 기초과학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를 직접 지원하는 미래기술육성 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금까지 601개 과제에 총 7713억원을 지원했다. 이 밖에 국내 대학들의 미래 기술과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에 올해 1000억원 이상을 투입할 계획이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