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소속 전공의 1만6000여명은 7일 오전7시 사실상 파업행위인 '집단휴진'에 들어갔다. 2014년 파업 당시 제외됐던 응급실과 중환자실·혈액투석실 등 필수의료 부문 인력도 동참했다.
다행히 대전협은 파업 열흘 전인 지난달 28일 대전협의 집단행동 계획을 공개해 병원 측이 이에 대응할 시간이 충분했기에 우려했던 '의료 대란' 현상은 벌어지지 않고 있다.
서울대·삼성서울·서울아산·연대세브란스·서울성모병원 등 주요 병원들은 대전협의 집단행동 계획이 발표된 이후 교수·임상강사 등 대체인력 배정을 끝낸 상태다. 전공의들은 필요한 처방과 의무기록을 대리근무자에게 인계하는 등 행동 수칙을 공유하기도 했다.
파업 기간도 하루(24시간)에 불과해 큰 혼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치료가 시급하지 않은 경우 외래 환자들의 대기시간이 평소보다 길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전공의들의 파업이 2차·3차로 이어진다면 의료 대란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미 대전협은 오는 14일 개원의가 주도하는 대한의사협회 집단휴업에 동참 의사를 밝힌 상태다.
특히 전공의와 정부 간 입장차가 뚜렷해 파업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높다. 전공의들은 파업에 앞서 의대 정원 증원, 공공의대 설립 반대를 가장 먼저 요구했는데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6일 대국민담화문에서 "의대 정원 확충은 지역의 의료서비스 질을 높여 어느 지역에 살든 우수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정책"이라며 강행 의지를 재차 내비쳤다. 파업 장기화를 염두에 둔 듯 정부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위협이 발생하는 경우 엄중히 대처해나갈 것"이라고도 말했다.
다만 정부와 대전협이 오는 11일 대화하는 자리를 갖는 만큼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의료 전달체계 개선이나 수련환경 개선 같은 전공의들의 또 다른 요구사항이 갈등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 역시 수도권·대형병원 쏠림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의사 수 확대 외에 수가 개선 등 인센티브 대책을 준비 중이고 전공의 환경 개선에도 공감대를 나타내서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