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집값 안정론’의 근거는 한국감정원 통계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달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문재인 정부 부동산 상승률은 11%”라고 답해 파장을 일으켰을 때도 이를 인용한 것이다. 감정원 통계를 보면 7·10 대책 후 집값 상승률이 주춤한 것처럼 보인다. 최근 4주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0.06%→0.04%→0.04%→0.02%’로 계속 낮아지는 추세다.
문제는 이 통계가 시장 동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설계돼 있다는 점이다. 감정원은 아파트의 경우 1만6000여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월 1회 실거래가를 조사하고, 실거래가 없으면 과거 유사거래를 파악해 데이터를 산출한다. 조사 횟수가 한 달에 한 번뿐이고, 오랜 기간 매매가 없을 경우 한참 전 거래와 비교해 등락률을 뽑아내 현실과 괴리가 크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국민은행 주택시장동향 조사를 많이 쓴다. 이 조사는 표본가구수가 3만여 가구, 조사 횟수가 주 1회로 감정원보다 훨씬 많아 시장의 신뢰도가 높은 편이다. 국민은행의 주간(13일 기준) 조사에서 서울 아파트 가격은 0.5%나 폭등해 감정원 통계와 큰 차이를 보였다. 청와대와 국토부가 이런 실상을 모를 리 없다. 그런데도 “국민의 체감과 다르더라도 국가가 공인한 통계를 얘기할 수밖에 없다”(김현미 장관)는 궤변으로 고집을 부린다. 회심의 7·10 대책에도 집값이 떨어지지 않고, 전셋값이 고공행진이니 이런 무리수를 둔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 와중에 여당에선 ‘8말9초 집값 안정론’을 주장하고 나섰다. 진성준 의원은 어제 기자간담회에서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면 국민들이 집값 안정을 체감하게 될 것”이라고 장담했다. 현실과 동떨어진 통계에 근거해 세운 대책으로 무슨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보는지 궁금하다. ‘가격이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는 정부가 세계 유례를 찾기 힘든 ‘부동산감독원’까지 만들 기세다. 입맛대로 통계를 선택하는 정부 앞에서 국민은 집값대책의 진짜 목적이 무엇인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