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02.22322496.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526312.1.jpg)
상반기 부정수급 의심 건수를 월평균으로 환산하면 70.5건이다. 현 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22.9건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3.1배로 늘었다. 월평균 부정수급 건수는 2017년 26.5건, 2018년 53.0건, 지난해 63.8건 등으로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조사 건수 가운데 혐의가 드러나 소관 부처 등으로 이첩·송부한 건수도 2016년 월평균 17.8건에서 올 상반기 48.8건으로 증가했다.
부정수급액도 급증하는 추세다. 센터와 정부 부정수급점검 태스크포스(TF)의 보조금 환수결정액을 합친 액수는 2018년 660억원에서 작년 1240억원으로 치솟았다. 올해 부정수급액은 조사 건수 증가세를 고려할 때 2000억원을 넘길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부정수급이 급증한 원인은 정부가 보조금 예산을 대폭 늘린 데 있다. 2017년 59조6000억원이던 중앙정부 보조금은 올해 86조7000억원으로 불었다. 올해는 1, 2차 추가경정예산까지 반영하면 105조7000억원에 이른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527032.4.jpg)
문제는 보조금 사업 전반에 부정수급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민권익위원회 복지·보조금부정신고센터의 올 상반기 월평균 부정수급 조사 건수는 70.5건으로, 2016년(22.9건)의 3.1배로 늘었다. 조사 결과 혐의가 드러난 건수도 같은 기간 2.7배로 증가했다.
복지·고용 분야 부정수급이 심각하다. 2017년 5월~2020년 6월 신고센터의 보조금 환수결정액(703억원) 가운데 복지·고용 분야(457억원)가 65%에 이른다. 현 정부 들어 복지 수당과 고용장려금을 대폭 늘리자 “이때가 기회”라며 부정수급을 시도하는 사람이 늘어난 탓이다.
일례로 기초생활보장제도 부정수급 가구는 2016년 1만9000가구였으나 작년 3만7000가구로 뛰었다. 같은 기간 부정수급액도 205억원에서 265억원으로 늘었다. 2017년 ‘이영학 사태’가 터진 뒤 정부가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이영학 씨는 고급 외제차를 여러 대 몰고다니는 등 호화 생활을 즐기면서도 재산·소득을 숨겨 생계급여 등을 1억원 넘게 챙겼다. 올해도 임금을 딸의 계좌로 받아 소득을 숨기는 방법 등으로 생계급여를 부정수급한 사례가 권익위로부터 여럿 적발당했다. 일자리안정자금 등 고용장려금과 어린이집 등 복지시설 보조금, 실업급여 등 부정수급도 가파르게 늘고 있다.
비용을 부풀려 보조금을 빼먹는 수법도 부정수급의 단골 사례다. 한국발레협회는 2018년 발레 공연을 열면서 무대제작비 등을 과다 계상하는 방법으로 공연 보조금 4700만원을 타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보조금 늘리기에만 치중하고 재정 누수 막기엔 소홀한 것이 부정수급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작년 10월 보조금 부정수급자는 최대 5년간 지급 대상에서 배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으나 아직까지 제도화되지 않았다. 정도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미국 등처럼 보조금 수급자 정보를 일반에 투명하게 공개하는 게 부정수급 예방에 효과가 크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며 “우리도 관리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