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01.23532251.1.jpg)
이르면 다음주 단행될 예정인 검찰 중간간부 인사를 전후로 검사들의 ‘줄사표’가 재현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검찰 안팎에선 핵심 수사인력의 조기 유출로 범죄대응역량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9일 법무부에 따르면 검찰을 떠나는 검사 규모는 매년 증가 추세다. 2016년 68명의 검사가 옷을 벗었다. 2017년과 2018년엔 각 79명과 76명이 검찰을 떠났다. 지난해엔 110명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올해도 7월 기준 39명의 검사들이 사표를 냈다.
지난해 7월 인사 이후 60여명의 검사들이 줄사표를 낸 것이 대표적이다. 전임자(문무일 전 검찰총장)보다 5기수나 낮은 윤석열 검찰총장이 임명되면서 관례에 따라 윤 총장 선배들이 대거 옷을 벗었다.
‘불공정 인사’ 잡음도 검사들의 조직 이탈을 가속화했다. 당시 ‘윤석열 사단’으로 불린 특수통 검사들이 검찰 요직을 독식했다. 적폐수사를 이끌었던 윤 총장이 친(親)여권 성향으로 인식돼 보은인사, 코드인사 논란이 일었다. 반면 정권을 겨냥해 ‘환경부 블랙리스트’ 수사를 진행한 검사들은 좌천돼 사표를 냈다.
코드인사 논란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검찰 수사 이후 양상이 바뀌었을 뿐이다. 윤 총장의 지휘 아래 정권을 겨냥한 수사를 진행했거나 현 정부에 미운털이 박힌 검사들은 대거 좌천되고, 친여권 성향으로 불리는 검사들이 요직을 꿰차고 있다.
당장 내년부터 검·경 수사권 조정이 시행된다. 검찰의 직접수사 범위가 대폭 줄어드는 등 검찰의 권한이 줄어든다. 법무부는 대검찰청과 서울중앙지검 등에서 직접수사 담당 부서를 줄이고 형사부와 공판부를 늘리는 직제개편을 추진 중이다. 검찰 내 엘리트로 불린 특수통·공안통 검사들의 설 자리가 줄어드는 셈이다. 법조계에선 검찰 권한이 줄어들고 검찰 내 주요 직위가 폐지됨에 따라 소위 ‘전관 효과’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검찰에서 오래 근무할 유인을 떨어뜨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르면 다음주 차장·부장검사급 중간간부 인사 이동을 기점으로 특수·공안통 중심의 검찰 이탈 행렬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다. 검찰 안팎에선 다수의 주요 수사 경험을 갖춘 검사들의 이탈로 검찰의 수사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