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이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기본소득을 지원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밝혔다. 필요한 예산은 중복 우려가 있는 현행 현금복지제도를 통폐합해 조달하겠다는 방안도 내놨다.
윤희숙 통합당 경제혁신위원장은 20일 당 혁신위가 주최한 혁신아젠다 포럼에서 “중복된 현금지원제도를 통폐합해 사각지대를 메우고 빈곤층 소득 지원을 늘려 ‘빈곤 제로(0)’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취임 직후 “기본소득 논의가 필요하다”고 화두를 던진 지 약 석 달 만이다.
통합당 경제혁신위가 공개한 단일소득지원안(案)은 지원 대상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상대적 빈곤선(중위소득의 50%·1인 가구 월 88만원) 이하 가구로 잡고, 이 기준선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만큼 메워주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월소득이 50만원인 1인 가구라면 빈곤선에 닿기까지 필요한 38만원을 정부가 지원하는 식이다. 혁신위는 이 같은 소득지원제도를 도입하면 약 328만5000가구가 혜택을 볼 것으로 내다봤다. 필요한 재원은 연 21조원가량으로 추계했다.
기본소득 논의의 핵심 쟁점인 소요 재원은 현행 현금지원제도를 통폐합해 마련할 계획이다. 제도 관리는 국세청이 담당하도록 해 현재 각 부처에 산재돼 있는 세금 징수와 소득 지원 기능을 단일화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통합당은 모든 국민에게 똑같은 금액의 돈을 주는 대신 형편이 어려운 가구에 더 많은 현금 지원이 돌아가도록 소득지원안을 설계했다. 이 안이 현실화되면 지원 인원은 610만 명, 328만여 가구에 달할 것으로 통합당은 추산했다. 현재 기초생활보장제도를 통해 생계비 지원을 받는 인원이 126만 명, 83만6000가구인 점을 감안하면 생계보장 범위 자체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소득 수준별로 차등 지원하는 방식을 제안해 진보진영에서 언급되는 전 국민 지급형 기본소득과 거리를 뒀다. 제도 도입의 전제조건으로는 중복 수급 우려가 있는 현금 지원제도의 통폐합을 제시했다.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4조3000억원), 기초연금(13조2000억원)등의 통폐합 필요성이 언급됐다. 윤 위원장은 “현 복지제도가 당시 필요에 따라 얼기설기 덧붙여지면서 중복 수급과 사각지대가 동시에 있다”며 “통폐합하면 단일소득보장체계에 필요한 예산 21조원을 충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세청이 총괄 제도관리기관으로 세금 징수와 소득 지원을 동시에 관리해야 한다는 제안도 했다.
통합당은 노동분야 정책방향에서 연공서열 위주의 임금체계를 쉽게 개편할 수 있도록 사업장 내 의사결정의 제도적 틀을 대폭 바꿀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교육분야에선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학업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국 수준의 학력평가 재도입을 요구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