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2011년 말부터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실적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지난달부터는 외국인 매도세가 더 강해져 지분율이 34%까지 떨어졌다. 2002년 이후 최저치다. 그런데 최근 외국인이 다시 유입되고 있다. 핵심 배경은 실적 반등이다. 여기에 자사주 매입 기대감, 패시브 자금 확대까지 겹치면서 주가는 지난해말 고점(24만6000원)을 넘어섰다.
증권사들은 목표주가를 올리고 있다. 30만원을 넘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날 하나금융투자는 목표주가를 32만원으로 제시했다. 전날 삼성증권과 대신증권도 32만원을 목표주가로를 설정하며 매수의견을 제시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반등하고 있고 인터넷TV(IPTV) 등 유선부문도 성장하고 있다"며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자사주 취득 의지를 내비친 점이 외국인 유입세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3분기에는 통신부문 영업이익이 직전분기와 작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텔레콤의 올해 영업이익은 1조2626억원으로 전망된다. 작년 대비 13.7% 증가한 수준이다. 2021년에는 1조4005억원을 기록해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오태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5G 가입자 증가에 따라 2022년까지 ARPU가 상승할 것"이라며 "스마트폰 가입자의 5G 비중이 2020년 21.8%에서 2021년 41.0%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주가도 실적에 맞출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진 것이다.
지난 12일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국지수의 SK텔레콤 편입비중이 0.064%에서 0.124%로 확대된 점도 호재다. 편입비중 확대로 4000~5000억원의 외국인 패시브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사주 매입과 합치면 최대 1조원의 신규 매수가 유입될 수 있다.
통신업을 바탕으로한 시너지도 기대된다. 코로나19를 계기로 고정비로 여겨지던 통신비가 여가비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 연구원은 "SK텔레콤은 자체 사업부로 유료방송, OTT, 음원스트리밍, 보안, 커머스 등을 보유하고 있다"며 "자체 상품을 구독 서비스로 출시하면 가격 인상에 대한 저항감을 완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장기적으로는 자회사 SK하이닉스, 자동차 업체와 협력해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차 등 B2B 분야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