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기사는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가 서울 전체 아파트 약 170만 가구를 전수조사해 발표한 통계를 기반으로 작성했다. 지난달 말 기준 서울 25개 자치구 아파트 평균 가격이 10억509만원으로 사상 처음 10억원을 넘었다는 내용이다.
소 의원이 이 기사를 봤냐고 묻자 김 장관은 “몇 개 아파트를 모아서 10억원이 넘는 것을 가지고 서울 전체인 것처럼 기사를 쓴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자 소 의원은 “(이 기사는) 단순히 기자가 취재했다기보다는 뒤에 엄청난 세력이 있다고 본다”며 “허위 뉴스로 부동산시장을 교란하는 세력을 잡아내야 한다”고 했다. 앞서 지난 14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도 해당 보도에 대해 “집값이 비싼 일부 지역만 10억원이 넘었는데 (이를 과장한) ‘치사한 기사’”라고 말했다.
그러나 ‘10억원이 넘지 않는 지역도 있기 때문에 평균 10억원이라는 뉴스는 가짜’란 주장은 궤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서울에서 가장 비싼 강남구(20억1776만원)부터 9위를 기록한 양천구(10억1742만원)까지 10억원 초과 9개 구만 따로 계산하면 평균 가격은 13억5300만원이 넘는다. 중구(9억8629만원)와 영등포구(9억8177만원), 동작구(9억6777만원), 종로구(9억4544만원) 등 4개 구도 10억원에 근접했다.
물론 서대문구는 8억원대, 동대문·강서·성북구는 7억원대다.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은 4억~6억원 선이다. 하지만 노도강 등에는 오래되고 작은 주택형이 많아 평균값이 내려간 측면이 크다. 노원구에서도 5억원으로는 지어진 지 20년 넘은 방 두 개짜리(전용 38㎡) 아파트밖에 살 수 없다. 대단지나 역세권 등을 충족하는 웬만한 전용 84㎡ 아파트는 대부분 9억원을 넘었다.
정부와 여당 말대로 아직 10억원을 넘지 않는 아파트가 적지 않은 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사실이 나날이 급등하는 집값이 걱정돼 주말마다 ‘패닉 바잉(공황구매)’을 하러 돌아다니는 3040세대에게 위로가 될 수는 없다. 이들도 가능하면 교통이 편리하고 자녀 통학이 안전한 집에 살고 싶어 한다. 이런 아파트들이 이제 10억원이 됐다는 게 지난 13일 기사의 요지다. 시장 수요가 반영된 가격이 ‘특정 세력’에 의해 조작된 가짜라고 우기는데 제대로 된 정책이 나올 수 있을까.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정책 수립의 가장 기초가 돼야 할 통계부터 제대로 봐야 한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20번 넘게 발표된 건 다 이유가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