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628337.1.jpg)
전시작전권 전환 염두에 둔 '포석'
강한 리더십과 소탈한 성격으로 군 내에서 두터운 신망을 얻고 있다는 평가다. 서 후보자는 이날 청와대 인사 발표가 난 직후 “전군이 추진하고 있는 국방개혁을 완수하고, 흔들리지 않는 강하고 책임 있는 안보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 육사 출신이 지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임기 첫해 국방부 장관에 해군 출신인 송영무 장관을 기용한 데 이어 2018년 9월 공군 출신인 정경두 장관을 임명하면서 차기 국방부 장관에는 3군 균형 인사 차원에서 육군 출신을 임명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서 후보자와 함께 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이순진 전 합동참모본부 의장(3사 14기)과 김유근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육사 36기)은 개인 사정을 이유로 후보 지명을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1985년 육사 졸업과 동시에 보병 소위로 임관한 서 후보자는 육군과 합참에서 다수의 작전 관련 보직을 두루 거친 ‘작전통’으로 불린다. 소장 시절 육군 제25보병사단장과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 작전부장을, 중장으로 진급한 뒤에는 육군 제1군단장과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을 지냈다. 한미연합사 작전처장도 거쳤다. 작전통인 서 후보자의 발탁은 이번 정부 임기 하반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염두에 둔 인사라는 분석이 나온다. 문재인 정부가 2022년을 목표로 삼은 전작권 전환을 위해선 올해 2단계 완전운용능력(FOC), 내년 3단계 완전임무수행능력(FMC)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30년 이상 군에서 복무한 서 후보자는 한·미 전작권 전환과 국방개혁, 국방 문민화 등 핵심 정책과 강군 건설을 추진해나갈 적임자”라고 말했다.
이번 국방부 장관 인사로 다음달 초 합참의장과 육군참모총장 등 후속 장성 인사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합참의장에는 남영신 지상작전사령관(학군 23기) 등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고, 후임 육군총장에는 육사 42기 출신 등의 승진 발탁 가능성이 점쳐진다.
김형호/이정호 기자 chs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