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9/AA.23662899.1.jpg)
베스트셀러 《포노 사피엔스》로 유명한 최재붕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사진)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화상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포노 사피엔스는 스마트폰을 신체의 일부처럼 사용하는 새로운 인류상을 뜻한다. 그는 최근 새 책 《CHANGE 9(체인지 나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사회의 포노 사피엔스 문명을 어떻게 받아들일지에 대해 설명했다.
최 교수는 이 책에서 포노 사피엔스가 생각하는 기준(코드)을 아홉 가지 키워드로 소개한다. ‘메타인지’ ‘상상력’ ‘휴머니티’ ‘다양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회복탄력성’ ‘실력’ ‘팬덤’ ‘진정성’이다. “코로나19가 포노 사피엔스 문명의 출현 시기를 20년가량 앞당겼어요. 그 과정에서 혼란이 클 겁니다. 하지만 이미 우린 가야 할 길에 들어섰어요. 뒤로 물러설 곳은 없죠.”
그는 아홉 가지 키워드 중 메타인지와 진정성을 우선으로 꼽았다. ‘내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 정의하는 기준’인 메타인지와 교육에 관해 최 교수는 “몇 초 만에 찾을 수 있는 지식을 주입식으로 가르치는 게 아니라 검색으로 찾아낸 자료 안의 의미를 해석하는 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교육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과제를 준 뒤 자율적으로 해결하며 책임감 있게 성과를 내는 방식을 가르쳐주면 나이를 뛰어넘는 성과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뭔가 잘 보이려는 방식으로 문화 콘텐츠를 마케팅해선 안 된다”고도 강조했다. 최 교수는 “포노 사피엔스 세대는 소통의 진정성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자신이 선택하고 팬덤을 형성하며 좋아해온 스타와 콘텐츠 뒤에 거짓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뒤돌아보지 않고 버린다”고 지적했다.
그는 “10~20대 학생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포노 사피엔스의 사고방식을 중장년 세대가 열린 마음으로 봤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책을 썼다”고 말했다.
“포노 사피엔스가 새롭게 실력을 발휘하며 미래를 개척하는 길을 열어주는 게 기성세대의 역할입니다. 변화를 두려워하면서 새 문명의 길을 막는 건 의미 없는 횡포에 불과합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