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을 통해 조달되는 자금 중 상당 부분은 스마트공장을 통한 스마트 생산공정 적용에 사용할 계획이다. 7년간 항암면역치료제를 생산해온 경험을 표준화해서 시장을 넓히고 생산 가격을 낮춘다는 방침이다. 또 향후 기술수출 시 생산 기술까지 포함하면 품질을 유지하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셀바이오는 자연살해(NK)세포와 수지상세포(DC)를 활용한 항암면역치료 기술을 갖고 있다. NK세포 기술인 'VAX-NK'를 적용해 진행성 간암 치료제(VAX-NK HCC)를 개발 중이다. 작년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2a상을 허가받았다. 임상 1상에서는 72.7%의 환자에게 객관적 반응이 관찰됐고, 80%가 넘는 환자에서 질병조절능력을 보였다. 임상 1상 논문을 정리한 후 기술수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준행 대표는 "임상 1상 환자 중 암세포가 완전 소멸되고, 40개월 이상 생존한 사례가 있다"며 "간암 환자들의 통상 생존기간이 3개월인 것에 비해 10배 이상의 기간"이라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9/01.23687960.1.jpg)
이어 “NK세포는 기술적으로 3만배 이상 증폭이 가능하지만 너무 늘어나면 암세포 살상능력이 소멸된다”며 “세포살상능력을 유지하는 선에서 최적의 증폭률을 찾아냈다”고 했다.
회사는 임상 2a상에서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확보하면, 조기 종료 후 2b상으로 넘어가고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을 계획이다. 이를 통해 3상 조건부 시판허가를 목표하고 있다.
반려견 전용 항암제 개발 상황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박셀바이오는 반려견 산업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8살 이상 반려견의 암 발생률이 50%를 넘는다는 것에 주목했다. 현재 품목허가 신청을 마치고 연내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이 대표는 “반려견 치료제 승인 후 내년 연말 전에는 수익 창출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셀바이오는 4일까지 수요 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오는 10일과 11일 청약을 진행한다. 희망 공모가는 3만~5만원, 공모금액은 295억5000만~344억8000만원이다. 하나금융투자가 상장 주관사고, 상장 예정일은 오는 22일이다.
박인혁 기자 hyu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