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재정 확대 필요성에는 대개 공감한다. 하지만 코로나가 덮친 올해에만 이런 ‘초슈퍼 예산’을 편성한 게 아니다. 문재인 정부의 첫 편성 예산인 2018년부터 지출증가율이 7.1%에 달했고 2019년 9.5%, 올해 9.3%로 더 높아졌다. 3년 연속 급증했지만 경제성장률은 매년 떨어졌다. 김 원내대표는 “556조원 규모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이 계획대로 잘 집행되면 우리 경제는 3%대 성장도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주장했지만, 예산을 늘린다고 성장률이 오른다는 보장은 없다.
이 지사가 “우리 국가채무비율은 안정적 수준”이라고 언급한 것도 논란 여지가 많다. 한국 국가채무비율은 2005년 25.9%에서 10%포인트 높아지는 데 12년 걸렸지만 이번 정부 들어 4년 만에 10%포인트 올랐다. 정부 재정전망에 따르면 2024년 58.3%로 지난해 38.1%에서 5년 만에 20%포인트 뛰는 셈이다. 정부·여당은 ‘OECD 평균 국가채무비율은 110%’라며 우리는 양호하다는 입장이지만 여기엔 238.7%에 달하는 일본과 유럽 재정위기를 초래한 남유럽 국가들이 포함돼 ‘평균의 함정’이 있다.
김 원내대표는 “세계 주요국도 확장적 재정정책을 펴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우리나라가 기축통화국인 미국 유럽 일본과 동급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오히려 코로나 쇼크로 국가신인도가 흔들리면서 부도 위기에 몰려 IMF의 긴급 수혈을 받은 나라가 부지기수다. 글로벌 금융불안이 가시화할 경우 소규모 개방경제는 언제든 외환위기에 봉착할 위험이 상존한다.
국가채무는 마냥 늘려도 되는 게 아니다. 급속한 고령화, 고갈시점이 앞당겨진 국민연금 등 4대 공적연금 부실까지 감안할 때 재정여력이 있는지도 의문이다. 야당과 언론의 재정건전성 걱정을 가짜뉴스인 양 치부해선 정말 곤란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