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업계 역사상 최대 빅딜로 주목받은 루이비통의 티파니 인수가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번 인수건은 160억달러(약 19조원)로 명품업계 최대 규모다. 루이비통이 내세운 표면적인 인수 연기 이유는 정부의 요청이다. 하지만 갑자기 "인수가 어렵겠다"면서 말을 바꾸며 어깃장을 놓은 데 대해 명품업계는 사실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LVMH가 명시한 2021년 1월 6일은 미국이 프랑스에 디지털세와 관련,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한 때다. 프랑스 정부가 지난해 7월 디지털세를 도입하자 미국은 "프랑스가 자국 IT 대기업을 차별한다"면서 13억 달러의 프랑스 제품에 25%의 보복관세 부과를 예고해 갈등을 빚어 왔다. 다만 미국은 프랑스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내년 1월 6일까지 유예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LVMH가 올해 11월 24일로 티파니와 마무리 지으려 했던 160억달러 규모의 대형 거래가 취소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보도했다. 실제로 장 자크 기오니 LVMH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기자들과 통화에서 "9월 1일 자로 받은 정부 서한이 합법적이고 유효하다"며 "우리는 선택권이 없다"고 주장했다.
LVMH 측에서 공을 프랑스 정부로 넘겨버리자 프랑스 정부는 이에 대해 해명하고 나섰다. 익명의 소식통은 LVMH와 티파니 간 거래가 성사됐을 때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한 의도였다며 구속력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가브리엘 아탈 프랑스 정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르드리앙 장관이 LVMH에 보낸 서한을 인지하고 있다며, 그가 조만간 입장을 밝힐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탈 대변인은 미국과의 협상을 염두에 둔 듯 "프랑스 정부는 순진하지도 않고 소극적이지도 않다"며 "우리에게는 얻고 싶은 목표가 있다"고 부연했다.
실제로 업계에서는 LVMH가 말을 바꾸며 인수 계획을 사실상 포기한 데에는 사실 다른 이유가 깔려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 인수합병 초기 합의는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기 전인 지난해 11월에 이뤄졌다.
하지만 올해 들어 명품업계가 코로나19로 매출이 급감하는 등 직격탄을 맞으면서 LVMH 내부에선 인수가가 너무 과도하게 책정됐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명품 브랜드들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루이비통이 티파니 인수에 과도한 대금을 치르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명품업계는 두 회사의 메가딜의 향방을 지켜보고 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