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우리가 기대를 걸 만한 사안으로 코로나19 백신이 있다.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가정할 때 연말까지 적어도 두 종 이상의 코로나19 백신이 보건당국의 승인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정부의 자금 지원 및 규제 완화에 힘입어 이들 백신 후보 물질 중 일부는 임상 3상 시험이 끝나기도 전에 생산에 들어갔다. 백신이 실제 효과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연말까지 2억 도스(1회 사용분)를 확보할 수 있다. 사람들이 조기 출시된 백신이 안전하다는 확신을 가지기 전까지 보급사업 자체가 만만치 않은 일이 될 수도 있다.
어쨌든 모든 일이 원활하게 진행된다면 부유한 선진국의 국민 중 원하는 이들은 내년 말까지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같은 시점까지 중국에선 국민 전부를 상대로 한 백신 접종이 가능할 것이다. 이후 2년이 지나면 개발도상국과 신흥국 등 나머지 나라들의 국민 대다수도 백신을 맞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런 낙관적인 시나리오대로 현실이 흘러갈 것이라고 장담하긴 쉽지 않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백신으로 완전히 해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조기 출시된 백신이 단기적인 효과를 내는 데 그치거나 혹은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임상시험 프로토콜의 개선,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치료법 개발, 효율적인 예방 행동수칙 제정 및 준수 등이 보완책이 될 수 있다. 1918~1920년 대유행하며 5000만 명 이상 사망자를 낸 인플루엔자가 백신 없이 자연스럽게 사라졌다는 과거 경험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더 비관적으로 생각하자면 코로나19가 종식되기 전에 미·중 무역전쟁의 격화, 사이버 테러 및 전쟁, 대규모 자연 재해 등 다른 위기가 등장할 수도 있다. 1인당 국민소득이 지난해 수준으로 회복되기까지 수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일본, 유럽의 일부 국가처럼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계속 펼 수 있는 나라는 많지 않다. 많은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은 앞으로 몇 년 동안 코로나19와 씨름하며 ‘잃어버린 10년’ 같은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저소득 국가의 장기불황은 부채 문제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선진국들도 안심할 수는 없다. 기업들은 코로나19 같은 대유행을 걱정하며 투자와 고용 등 경영활동을 망설일 것이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높아진 정치적 변동성도 고려해야 한다. 사람들은 단기적으로는 그동안 미뤄온 소비에 나서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저축을 중시하게 될 것이다. 1930년대 대공황을 경험한 부모나 조부모를 둔 사람이라면 당시의 혹독한 경험이 이들 세대의 평생 습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할 것 같다.
코로나19는 고용과 투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치러야 할 비용까지 부담시키고 있다. 아이들은 1년가량의 학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특히 저소득층 가정의 아이들에게 타격이 컸다. 첫 직장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젊은이들의 미래 소득은 코로나19 전 기대에 비해 적을 가능성이 높다.
세계 경제는 분기점에 있다. 정책 입안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임무는 개인과 기업을 대상으로 경기부양책을 이어가며 코로나19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이다. 불확실성은 예상보다 커졌고 장기화하고 있다. 최악의 상황이 끝난다 해도 코로나19로 촉발된 위험은 오랫동안 세계 경제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높다.
ⓒ Project Syndicate
정리=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