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추석 연휴를 앞두고 온라인 쇼핑 업계의 방역 상황을 점검한다는 취지로 경남 양산에 있는 쿠팡 물류센터를 방문했다. 정부가 쿠팡의 방역 활동을 ‘표준’으로 판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쿠팡이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해 정부뿐만 아니라 업계의 이목을 사로잡은 건 정보기술(IT)로 방역의 최적화 모델을 찾았기 때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거리두기 알람’이 대표적이다. 물류센터에서 작업하는 쿠팡 직원들은 알람 앱이 깔린 손목용 기기를 착용하거나 업무용 개인디지털단말기(PDA)에 앱을 설치해야 한다. 작동 원리는 간단하다. 직원들끼리 1m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경고 알람이 울리고, 접촉자의 명단과 동선이 동시에 전산에 기록된다.
쿠팡은 물류센터에 들어갈 땐 모든 직원이 예외 없이 QR코드를 찍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개인별로 온도 체크 기록을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마스크 착용, 손 세척 등 개인 방역 활동에 대해서도 1시간 간격으로 알람이 울린다.
쿠팡은 2400명의 안전 감시단도 고용했다. 엘리베이터에 직원들이 한꺼번에 타지 않도록 안내하고, 통근 버스 대기 중에도 접촉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다.
쿠팡이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올 한 해 투자했거나 집행 예정인 돈은 총 5000억원에 달한다. 쿠팡이 집요하다고 할 정도로 방역에 신경 쓰고 있는 건 ‘5월의 트라우마’ 탓이다. 부천 물류센터에서 확진자가 속출하자 당시 쿠팡은 은폐 의혹을 비롯해 신속히 시설을 폐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회적 지탄을 받았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