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들이 어리둥절하고 있을 때 한 꼬마가 소리쳤다. “임금님이 벌거벗었다!” 안데르센의 동화 《벌거벗은 임금님》 이야기다. 옷을 좋아하는 임금님에게 두 명의 재봉사는 총명한 사람만이 볼 수 있는 화려한 옷감으로 특별한 옷을 만들어주겠다고 제안한다. 그들은 텅 빈 베틀만 연신 움직여댔지만, 신하들은 자신들이 자격 없는 사람으로 여겨질지 몰라 아주 훌륭한 옷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임금 역시 옷이 보이지 않았지만, 신하들과 같은 마음으로 보이지 않는 옷을 입고 신하들의 찬사를 받은 후 기념 행진을 시작했다.
하지만 비즈니스 이면에서 평가시스템은 노동자를 통제하고, 소비자와 노동자를 다른 플랫폼으로 옮겨가지 못하게 하는 수단이 된다. 노동자는 다른 플랫폼에서 평판을 다시 쌓으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소비자들은 익숙한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플랫폼 비즈니스의 경쟁력은 네트워크 외부효과에서 창출되기에 플랫폼 기업은 평판이라는 수단으로 수요자와 공급자를 이탈하지 못하게 막는다. 아마존에 대항하려는 경쟁자는 엄청난 물류창고와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지만, 플랫폼 사업자가 기존 사업자와 경쟁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단지 앱뿐이다. 이는 자신과 같은 경쟁자의 위협에 노출돼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평판을 통한 네트워크 외부효과의 창출 노력은 자신과 같은 경쟁자가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독점화 전략의 일부인 것이다.
분명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요소인 인터넷과 스마트폰, 앱, 인공지능(AI), 디지털 플랫폼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은 이전 시대에 찾아볼 수 없었던 커다란 혁신의 원천이다.
하지만 ‘온디맨드’, ‘긱 경제’라고 불리는 비즈니스 모델은 혁신이라 부를 수 없는 특징을 내포한다. 우버의 인기가 한창이던 2016년 12월, 파이낸셜타임스는 ‘벌거벗은 택시 유니콘 기업’이라는 기사를 통해 오늘날 혁신이라 불리는 서비스는 전화로 부르던 택시를 앱이 대신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단언한다. 그 이면에 놓인 잘게 쪼갠 과업, 이를 수행하려는 수많은 비숙련 노동자, 강력한 중개자와 이로 인한 열악한 근로조건은 지난 수백 년간 목격된 문제들이며, 오늘날의 디지털 전환으로 발생한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인류는 이런 문제를 조직과 제도를 활용한 고용 안정성의 보장을 통해 해결해왔다. 해체와 단편화가 아니라 노동규범의 정립을 통해 혁신 요소인 창의성과 기업 투자를 이끌어낸 것이다.
앞으로 확산될 온디맨드 비즈니스 요소들을 혁신의 밑거름으로 활용하기 위해 현상이 아니라 실체에 초점을 맞출 때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는 새로운 규범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값싼 노동력에 의존해 독점 추구
플랫폼 노동자 보호 장치 필요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