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9/AA.23872898.1.jpg)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정부·여당이 추진하는 ‘기업규제 3법(공정경제 3법)’에 대해 “기업 지배구조를 바꾼다고 공정경제가 이룩되진 않는다”고 일갈했다. 정부·여당이 해당 법안들을 공정경제 3법이라 부르는 것에 대해서도 “(법안) 내용과 다른 제목을 다는 건 사기꾼들이나 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들 법안이 등장한 배경으론 “돈을 벌어본 적도, 세금을 낸 적도 없는 사람들이 경제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탓”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정부·여당이 ‘공정경제’란 이름 아래 이들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 데 대해 “불공정경제 해결의 핵심은 기업들이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진정한 자유시장경제 구조를 만드는 것”이라며 “지배구조를 바꾼다고 시장에서 공정한 경제가 보장되진 않는다”고 했다. 이어 “(정부·여당이) 왜 기업 지배구조에 집착하는지 잘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안 대표는 현재 한국의 경제구조를 “관치경제와 신자유주의의 최악의 조합”이라고 평가했다. 안랩을 경영했던 경험을 언급하면서 “대기업은 관치경제 틀에 묶여 (정부가) 명령하는 대로 따르지 않으면 잡혀가고, 반대로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은 대기업으로부터 불공정거래라는 불이익을 받는데 정부는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결과적으로 대기업과 중소·벤처기업 모두 자율성과 창의성을 뺏기고 있다”고 했다.
그는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이 되고, 또 대기업이 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선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게 먼저”라고 했다. 구체적 방안으론 공정거래위원회의 독립성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권한을 강화하는 것을 제시했다.
세금을 ‘벌금’처럼 부과하는 현 정부의 인식부터 잘못됐다고 했다. 그는 “국가가 해야 할 일은 세금을 내는 사람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징벌적으로 세금을 때려 (부동산정책을) 하겠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이어 “벌금처럼 부과하면 누가 세금을 내고 싶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문제의 해법은 재개발을 일정 부분 허용하는 등 공급을 늘리는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는 김 위원장이 정강·정책에 경제민주화를 명시하는 등 중도 행보를 이어가는 것에 대해 “방향에 대해선 동의한다”면서도 “당명을 바꾸고 정강·정책을 바꾼다고 되는 게 아니라 구성원들의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과거 김 위원장이 민주당을 바꾸려고 들어갔다가 구성원들이 달라지지 않자 실망하고 나온 일도 언급했다. 그는 “그 일로 (김 위원장이) 교훈을 얻었을 것”이라며 “혼자 일을 추진하는 게 아니라 구성원의 동의를 얻는 과정에서 진정한 야당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했다.
고은이/좌동욱 기자 kok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