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업계에선 테슬라가 중국 CATL이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LFP(인산철) 배터리와 관련한 혁신 기술을 발표할 것으로 우려했다. 하지만 이런 발표는 없었다. 머스크 CEO는 오히려 배터리 원료 혁신 방안으로 니켈 비중을 더 높이겠다고 했다. 국내 배터리 기업이 강점을 가진 니켈 계열 배터리의 손을 들어줬다는 평가가 나왔다. 국내 업체들에 유리한 판도가 형성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기준에서 머스크 CEO가 원하는 사양을 맞출 수 있는 업체는 한국의 LG화학, 삼성SDI, 일본 파나소닉 정도”라고 말했다. 머스크 CEO도 이날 “LG화학, 파나소닉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낙관적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테슬라의 배터리 자체 생산 계획은 장기적으로 위협 요인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배터리를 자체 개발하고 기술 개발을 주도함으로써 기존 업체들은 단순 하청업체로 전락할 수 있다”고 했다. 테슬라보다 앞선 기술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더 커졌다는 얘기다.
한숨 돌린 배터리업계와 달리 자동차 업체들은 긴장감이 커졌다. 머스크 CEO가 “한 달 이내에 완전자율주행 옵션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배터리 셀을 자동차 섀시(차체)와 통합하는 기술도 제시했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애플이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을 내놓은 것과 비슷한 전략”이라며 “폭스바겐 등 기존 완성차 업체들이 자체 전기차 전용 프레임을 만들어 쫓아오자 한발 더 나아가 배터리 결합형 차체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터리 결합형 차체를 쓰면 실내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고, 더 많은 배터리를 탑재해 주행거리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