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석탄 선언은 KB금융이 지난달 발표한 ‘KB그린웨이 2030’의 일환이다. KB그린웨이 2030은 2030년까지 전 계열사의 탄소 배출량을 2017년 대비 25% 줄이고, 현재 20조원 규모인 ESG 관련 상품 판매와 대출을 50조원으로 확대하겠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석탄발전 대신 신재생에너지 및 친환경 선박·자동차 등 민간 투자사업 분야 투자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새로운 투자 자금 조달을 위해 지속적으로 ESG 채권도 발행한다. ESG 채권은 조달금을 환경, 사회적 사업, 지속 가능성 등에만 한정해 사용하는 채권이다.
금융권에서는 KB금융의 행보를 놓고 지방자치단체 금고 확보를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국 50여 개 지자체와 교육청은 금고 지정 과정에 ‘탈석탄’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다. 탈석탄 선언에 전 계열사가 참여한 만큼 국민은행이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연간 10조원에 달하는 서울교육청 금고 지정을 신청했다. 서울교육청은 100점 만점에 탈석탄 가산점만 5점을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지자체·교육청 금고 선정이 1~2점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국민은행이 60년 가까이 독점해 온 농협은행과의 2파전에서 앞서나갈 수 있다.
올 들어 은행권 ESG 채권 발행 규모는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 국민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등 국내 6대 은행은 올 들어 5조2000억원 규모(외화표시 채권 포함)의 ESG 채권을 발행해 세 분기 만에 지난해 전체 발행 규모(약 4조9500억원)를 넘어섰다.
‘미래 고객’인 젊은 층이 환경 문제에 민감한 것도 금융회사들이 ESG 경영을 가속화하는 이유다. 금융권 관계자는 “종이통장과 일회용품을 줄이는 등의 작은 노력도 젊은 층에는 은행을 신뢰하는 요소로 작용한다”며 “환경 문제 변화에 있어 금융이 앞장설 수 있는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