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회장은 28일 기자간담회에서 “구조조정 원칙으로 대주주의 책임있는 행동과 이해당사자의 고통 분담도 중요하지만, 가장 본질적인 것은 사업의 지속 가능성”이라고 말했다. 이어 “쌍용차에 대한 언론의 분석 기사를 많이 읽어보는데, 대부분 쌍용차의 지속 가능성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며 “산은도 그 부분을 중요하게 보고 있다”고 했다. 쌍용차 인수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 HAAH에 대해서는 “마힌드라(쌍용차 대주주)와 긴밀하게 협상 중이라고 보고받았지만 채권단이 구체적으로 관여할 사항은 아니다”고 말을 아꼈다.
이스타항공 지원 가능성에도 선을 그었다. 이 회장은 “이스타항공은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완전자본잠식 상태였다”며 “직접 지원이 어렵고, 기간산업안정기금 지원 요건도 충족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노조가 구조조정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타냈다. 이 회장은 “우리 사회의 노사협약 관행이 개선돼야 한다는 점을 구조조정을 맡은 채권단 회장으로서 뼈저리게 느꼈다”며 “몇몇 회사 노조는 사측·채권단과의 합의를 이행하지 않거나 정세를 활용해 현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한국GM을 꼽았다. 그는 “노사 갈등이 한국GM의 정상화 노력에 굉장히 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사 갈등을 완화할 방안도 제시했다. 이 회장은 “1년 단위인 노사 임단협을 대다수 나라처럼 다년(多年) 단위로 바꾸고, 호봉제도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이 개인적 소견”이라고 했다. 이어 “15~20년 남은 젊은 직원들은 양보하고 노력하는데, 5~8년 남은 직원들은 거액 연봉을 받으며 극한 투쟁하는 사례를 너무 많이 봤다”며 “세대 간 갈등으로 더 악화되는 기업을 많이 목격했다”고 덧붙였다.
산은 회장이 임원추천위원회 없이 ‘깜깜이’로 임명된다는 지적에는 “임명권자(대통령)의 정책적 판단”이라며 “개선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밖에 최근 이해찬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칭송하는 건배사로 논란을 빚은 것과 관련해서는 “해이해져 실수했다”고 두 차례 사과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