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9/99.22449453.1.jpg)
기초생활비를 부정수급한 사람의 숫자가 지난 2017~2019년 동안 1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도 700억 이상이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9/01.23933836.1.jpg)
국민의 최소한의 생활 수준을 보장해주는 취지의 제도지만 매년 악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부적정 수급 발생 건수는 △2017년 2만7,928건 △2018년 3만496건 △2019년 3만9,810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었으며, 부적정 수급 금액도 △2017년 210억 원 △2018년 232억 원 △2019년 260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부적정 수급 유형으로는 근로소득 미신고로 인한 수급이 7만5,121건에 547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부적정 수급자 중 78%였다.
토지?건물?주택을 보유하고도 기초생활비를 수급해간 699명과 분양권을 소유한 38명, 사망자 명의를 도용한 618명, 사실혼 또는 위장이혼 249명 등 단순한 누락이나 신고 지연으로 볼 수 없는 사유도 다수였다.
권 국회의원은 "부적정 수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사회보장정보원의 시스템을 좀 더 촘촘하게 개발하고, 지자체에서는 인력을 보강하여 부적정 수급자와 빈곤 사각지대가 없는지 주기적으로 살피는 등 크로스 체크를 더 강화 해야한다"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