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의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 시행 이후 전세의 매물절벽과 가격급등 현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지만 값이 떨어지지는 않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뿐만이 아닙니다. 수도권 집값 또한 급격히 상승한 상태입니다. 거래는 줄어도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집값에 청약을 도전하려고 하지만, 이 역시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와중에 정부는 추가 대책에 대한 언급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어제(지난 12일) "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월세 시장에 대한 물량과 가격 등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시 추가 대응책 강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8일 국정감사에서 "아직 전세시장이 안정화되지 못해 안타깝다"며 "추가로 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해보겠다"고 밝힌데 이은 언급입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절벽 속에 절반이 신고가
첫 번째 뉴스입니다. 거래 급감 속에서도 실거래되는 아파트 중 절반은 신고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서울부동산광장에 따르면 10월 서울 아파트 매매는 초소형을 제외하고 23건이었습니다. 이 중 12건(52.2%)이 신고가 계약으로 반을 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서울 아파트 시장이 극심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 집값이 관망세를 보이며 하락과 상승이 뒤섞인 모습이 심해지고 있다는 겁니다.
◆ 서울 아파트 평균 8억4437만원
올해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의 실거래가 평균이 8억4400만원으로 지난해(8억51만원)보다 5.5%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회 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감정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른 겁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는 2016년만해도 5억3338만원이었습니다. 이후 꾸준히 상승하던 끝에 8억원을 넘게 된 겁니다.
25개 자치구 중 평균 가격이 가장 비싼 곳은 서울 강남구로 17억6289만원에 달했고, 서초구(16억5851만원), 용산구(14억5551만원), 송파구(12억5147만원) 등도 높았습니다. 최근 4년간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성동구였습니다. 성동구의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는 2016년 5억8173만원에서 올해 10억7807만원으로 85.3% 상승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 서울의 15배
올해 경기도 아파트값 상승률은 서울의 15배에 달한다는 조사가 나왔습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 아파트값은 8.26% 올랐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54%에 그쳤습니다. 수도권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구리시로 18.55% 상승했습니다. 수원시는 16.38%, 용인시는 13.11% 올랐습니다. 광명시(11.76%)·오산시(12.18)·화성시(11.69%)·안산시(10.65%) 등도 10% 넘게 집값이 상승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해 0.46%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9억원이 넘는 아파트에 대한 대출 규제와 보유세 세율 인상 등 고가주택 규제를 쏟아내면서 풍선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서울과 가까운 ‘수·용·성’(수원·용인·성남)으로 몰리면서 집값이 가파르게 올랐습니다.
◆수도권 청약경쟁률 29대1…작년 두배
올해 1~3분기 수도권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은 29.1대1로 지난해(12.5대1)의 두 배를 웃돌았습니다. 지방 광역시와 지방 도시도 30.21대1, 14.54대1로 청약 경쟁이 치열했습니다. 부동산인포가 한국감정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1~3분기 전국에서 297개 단지, 총 11만2102가구가 일반공급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일반공급 가구는 약 14.1% 증가했습니다. 이에 비해 1순위 청약자는 278만여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4.6% 늘었습니다. 수도권 청약자가 특히 급증했습니다. 수도권 일반공급 물량은 5만3000여 가구로 지난해보다 소폭 늘었는데, 1순위 청약자는 155만건에 달했습니다.
◆9월 전세대출액 역대급 증가
서울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전셋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지난달 전세대출 증가폭이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 2월에 버금가는 수준까지 뛰었습니다. 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국내 5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전세대출 잔액은 99조1623억원으로 한 달 전에 비해 2조6911억원(2.8%) 늘었습니다. 5대 은행 전세대출의 전월 대비 증가폭은 2월에 역대 최대를 기록한 뒤 3월(2조2051억원) 4월(2조135억원)에는 감소세로 전환했습니다. 그러다 7월 들어 2조201억원이 늘면서 다시 2조원대로 올라선 다음 8월(2조4157억원)과 9월 다시 증가폭이 확대된 겁니다.
식후땡 부동산은 한국경제신문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 '오디오'로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