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사진)은 7일 “부모가 월세에 살면 자식도 월세에 살 확률이 39%라는 한경 보도처럼 주거 부문에서도 사회적 사다리가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장기 모기지를 과감하게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 의뢰로 한국노동연구원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부모가 월세살이를 한 가구의 39.1%는 분가한 자녀도 월세에 살았다. 박 의원은 “임대주택에만 살라고 할 게 아니라 자기 집을 가진 청년층을 양산해야 가난의 대물림을 막을 수 있다”고 했다.
박 의원은 임대주택의 월 임대료와 모기지 주택의 월 원리금 상환액이 같다면 주거 취약계층도 주택을 구입할 수 있다고 봤다. 박 의원실이 추계한 ‘정책모기지 상환액과 민간임대주택 임대료 비교’ 자료에 따르면 40년 만기 정책모기지를 도입할 경우 월 상환액은 70만2000원으로, 현재 월평균 71만원인 민간임대주택 임대료(보증금 4600만원)와 비슷해진다. 주택 가격 3억원에 2억1000만원 대출(LTV 70% 적용)을 받는다고 가정해 추계한 결과다. 30년 만기일 경우 월 상환액은 83만5000원이다.
기존 임대주택과 비교한 결과에서도 40년 만기 모기지를 도입하면 월세와 모기지 납입금 액수가 비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화성시 동탄의 임대주택(전용면적 84㎡)을 기존 임대 조건으로 계약하면 보증금 7000만원과 월 임대료 73만원을 내야 한다. 40년 만기 모기지론을 이용한다는 전제로 추계해 보면 초기 납부금 7000만원에 더해 월 납입금은 53만원 수준으로 임대주택에 사는 것보다 오히려 싸다. 박 의원은 “청년임대주택이 아니라 청년 내집 마련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