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차이점은 한·미 증시의 탈동조화(디커플링)와 유통·항공·여행주 강세다. 비대면주에서 콘택트주로 주도권이 옮겨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스피지수가 13일 2403.15에 장을 마쳤다. 전날에 비해 0.02% 떨어졌지만 2400선은 유지했다. 전날 코스피지수는 2404.18에 마감해 지난달 21일 이후 다시 2400을 넘겼다. 이 같은 상승 추세를 만들어낸 것은 외국인이다. 외국인은 이달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3562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코로나19 사태 뒤 국내 증시 이탈을 지속했던 것과 다른 모습이다.
반면 개인은 이날 345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월초 이후 개인의 누적 순매도액은 1조5369억원에 달한다. 지난달 28일부터 8거래일 연속 순매도다. 올 들어 가장 긴 연속 순매도였다. 증권사 계좌에 있지만 아직 주식 투자에 쓰이지 않은 ‘고객예탁금’도 지난달 4일(63조2582억원)을 정점으로 이달 8일(54조2160억원)까지 완만한 감소세를 보였다.
외국인이 국내 증시를 순매수하는 건 코로나19 사태가 진정 국면으로 접어든 것과 관련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그동안 미국 증시가 크게 올라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는 신흥국 증시의 투자 매력이 부각된 것도 이 같은 흐름이 나타난 배경이다. 오현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외국인이 내년 신흥국 증시가 추가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개인 매수세가 잠잠해진 건 변동성이 높아지는 연말을 앞두고 관망 심리가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개인의 잠재력은 여전히 크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금리 인상 등 중대한 변화가 없는 한 연말이 지나 상황이 안정되면 개인 자금이 추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중장기적으로 보면 신흥국 증시가 선진국보다 좋은 성과를 보일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진 것”이라며 “원정 개미가 포트폴리오 구성을 재검토해야 하는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 뒤 가장 부진한 흐름을 보였던 항공주와 여행주 유통주의 반등세가 가파른 것도 최근 증시의 특징이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티웨이항공, 하나투어, 모두투어 등 8개 항공·여행사의 시가총액은 지난달 24일 5조2523억원에서 이날 6조4761억원으로 12.58% 늘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5.74%)을 웃돌았다. 유통주도 강세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8월 19일 이후 처음 6만원 선을, 롯데쇼핑은 6월 10일 이후 석 달여 만에 9만원 선을 돌파했다.
김유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백신의 조기 승인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항공주에 접근해볼 만한 시점”이라며 “연말에서 내년 상반기 중 긴급 승인이 나오면 여객 수요 회복 등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