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0/AA.24068025.1.jpg)
구속 여부가 달려 있어 소송관계자들의 인생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형사공판도 마찬가지다. 2015년에는 3.9개월에 그쳤던 형사 1심 재판기간이 2017년 4.2개월로, 올해는 5.1개월까지 늘어났다. 2심은 2017년 4.2개월에서 올해 5.2개월로 늘었다. 행정재판의 경우 올해 기준 1심은 8.1개월, 2심은 7.5개월, 3심은 4.6개월이 걸려 총 20.2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번 재판을 하면 평균 1년8개월이 넘어야 사건이 해결되는 셈이다.
반면 법원에 접수된 소송 건수 자체는 줄고 있다. 본안 소송 기준으로 2017년에 155만5602건, 2018년 146만2714건, 2019년에는 146만1218건의 소송이 접수됐다.
법원에서는 김 대법원장이 취임 직후부터 ‘충실한 재판’을 강조한 것도 한몫한다고 보고 있다. 실제 재판에서 증인 신문, 증거 조사 등에 쏟는 시간이 더 길어지는 추세다. 하지만 소송 당사자들의 발언 하나하나에 다 귀기울이는 것만이 충실한 재판은 아니라는 법원 내부 의견도 있다.
서울에서 근무하는 한 부장판사는 “증인 신청도 다 받아주고 상대방 진술도 다 받아준다고 해서 좋은 재판은 아니다”며 “정의라는 것은 때에 맞춰 실현돼야 그 의미에 부합하는데 너무 늦은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윤한홍 의원은 “헌법이 보장하는 신속한 재판으로 사건 당사자인 국민의 고통과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곧 충실한 재판”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대법원 관계자는 “악성 민원인 사건 등 특이 사례를 빼면 3심 민사재판기간은 평균 4.9개월 정도”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3년 전(3.8개월)에 비하면 증가한 수치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