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0/AA.24080378.1.jpg)
5000억원대 펀드 사기를 벌인 옵티머스 경영진은 3년 전 옵티머스자산운용 경영권을 인수하자마자 사기 행각을 벌였다. 시작부터 전관을 앞세웠다. 통하지 않는 곳이 없었다. 검찰 조사나 금융감독원 검사를 어떤 이유에서인지 잘 피했고, 공공기관 자금도 유치했다.
김재현 옵티머스운용 대표(구속)는 이헌재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과 친구 사이인 양호 전 나라은행장과 손잡은 뒤 거침이 없었다. 그는 금감원 사람들을 만나면 “이헌재 전 부총리가 회사 고문을 맡고 계십니다”라는 인사말을 했다. 하지만 실제 이 전 부총리가 역할을 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공공기관 자금 유치나 검찰 전관 관리는 정영제 옵티머스운용 대체투자부문 대표(잠적)가 맡았다. C&그룹 계열사 대표였던 그는 법무부 장관을 지낸 모 인사와도 막역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 3년 전 로비를 통해 공공기관인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자금을 끌어온 것도 정 대표다. 750억원에 이르는 KCA 기금을 우량 채권에 투자한다고 해놓고 성지건설 인수합병(M&A) 등에 썼다.
옵티머스 일당은 시작부터 ‘전관 효과’를 제대로 누렸다. 퇴출 위기에 놓였던 옵티머스운용은 KCA 자금 유치를 내세워 금감원의 적기시정 조치 유예를 받고 살아났다. 그 이후 증권사를 통해 공공기관 매출채권 펀드를 팔아 KCA 자금을 상환했다. ‘펀드 돌려막기’가 시작된 시점이다. KCA 펀드 사기는 초기에 서울중앙지방검찰청과 금감원에 제보됐지만 묵살당했다. 전관 로비가 작용했을 것이란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10/AA.24081364.4.jpg)
옵티머스의 핵심 자금 통로는 부동산 컨설팅업체인 트러스트올과 골든코어다. 상당수 자금은 두 회사를 거쳐 부동산으로 흘러들어간 뒤 사라졌다. 부동산 시행업체 부실채권, 지방 오피스텔, 리조트 건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다양한 개발사업에 투자됐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들이 투자한 부동산은 부실 사업장이거나 리스크가 커 일반 금융사는 거들떠보지 않는 물건이었다”며 “자금을 빼기 위해 문제 있는 사업장에만 투자한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일부는 ‘옵티머스 일당’ 계좌에 꽂혔다.
펀드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가기도 했다. 성지건설(상장폐지)과 상폐 위기에 놓인 해덕파워웨이, 스킨앤스킨 등이다.
옵티머스 일당 중 한 명인 유현권 전 골든브릿지증권 센터장(구속)은 지난해 코스닥 업체 에이아이비트 등기이사로 선임되기도 했다.
옵티머스 펀드 자금 5151억원 가운데 4000억원 넘는 자금 행방이 묘연하다. 1조6000억원대 피해를 안긴 라임 펀드와 달리 자금의 꼬리표를 찾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 얘기다. 로비 의혹만 무성할 뿐 실제 돈을 챙긴 인물이 적다는 점도 다르다. 라임 사기에선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구속)과 김영홍 메트로폴리탄 회장(잠적), 이인광 에스모 회장(잠적) 같은 조력 인물들이 있었다. 한 운용사 대표는 “라임 일당은 사태가 터진 뒤 로비 움직임이 있었지만 옵티머스는 시작부터 전관을 앞세워 작심하고 사기를 쳤다는 점이 다르다”며 “검찰과 금감원은 물론이고 자금유치, 펀드 판매, 정부 관련 투자 등 모든 게 로비와 엮여 있어 정관계 게이트로 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조진형/오형주 기자 u2@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