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수된 민간제안서에는 민·관 공동투자구역 내 3만5000㎡ 이상인 서대구 복합환승센터(1만5000㎡), 앵커시설(2만㎡) 건립 조건을 포함했다. 사업계획에는 공동주택, 상업시설 등 아이디어가 포함됐다.
시는 연내 1차 협상대상자가 결정되면 내년부터 사업 시행을 위한 행정절차인 타당성 조사와 중앙투자심사를 이행하고 우선 협상대상자 지정을 거쳐 2025년 역세권개발 착공, 2027년 완공 목표로 추진한다.
서대구 역세권 개발은 민·관 공동투자개발구역 66만2000㎡, 자력개발 유도구역 16만6000㎡, 친환경 정비구역 16만㎡ 등 총 개발면적이 98만8000㎡ 총사업비 14조5000억원 규모인 초대형 프로젝트다. 시는 서대구 역세권 개발 민·관 공동투자구역 도시개발사업 기대효과로 약 1만3천명 고용유발 효과와 약 2조7000억원 생산유발 효과, 9천4백억원가량 부가가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의 동서균형발전과 경제 산업 문화교통물류 허브로서 신성장 거점이 될 것”이라며 “민간제안서 평가와 검증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