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0/AA.24167297.1.jpg)
“50여 명의 20~35세 백인 남자들이 세계 20억 명의 사고를 좌우하고 있다. 역사상 이런 일은 없었다.”
구글의 전 윤리 디자이너이자 ‘실리콘밸리의 양심’으로 불리는 트리스탄 해리스의 말이다. 실리콘밸리는 10여 년간 ‘어떻게 하면 사람들을 더 중독시킬까’를 연구해왔다. 구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등이 그렇게 성장했다. 몇 년 전부터 실리콘밸리에선 반성의 목소리가 커졌다. ‘디지털 디톡스’를 외치는 사람이 많아졌고, 디지털 기기마다 덜 중독되도록 하는 장치를 설계하는 문화도 생겼다. 마음챙김 명상은 이런 움직임의 중심에 있다. 기업들은 회사 건물마다 명상실을 따로 둔다. 미국의 모든 초등학교에 명상 클래스를 도입하자는 운동도 벌어지고 있다.
구글은 직원들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풀어주기 위해 일찌감치 직장 내 명상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수강생이 5000명을 넘자 2012년 비영리 교육기관으로 독립시켰다. 로렌 위트 구글 사내 복지책임자는 “직원들의 정신 건강을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글에는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클래스를 구성해 진행하는 버추얼 명상과 ‘G-포즈’라고 불리는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도 있다.
한국도 비슷하다. 한국에서 많이 활용되는 명상 앱은 국내 서비스인 ‘마보’ ‘코끼리’와 해외 서비스인 ‘캄’이다.
셋 다 종교적 색채를 지우고 과학적으로 설계된 ‘마음챙김 명상’을 지향한다. 마보에서는 화났을 때, 우울할 때, 마음이 너무 분주할 때 등 다양한 기분에 맞는 명상 콘텐츠를 제공한다. 혜민스님이 제작한 명상 앱 코끼리도 경제적으로 힘든 나를 위한 명상, 자기 비하를 멈추는 수호신 명상 등이 있다. 캄은 ‘굿나잇 스토리’라는 수면을 돕는 콘텐츠를 통해 동화 등 이야기를 들려준다. 유튜브로도 ‘디지털 명상’이 가능하다. ‘마인드풀TV’ ‘명상하는그녀’ ‘HigherSelfKorea(하이어셀프코리아)’ ‘귓전명상 채환TV’ 등이 인기 유튜브 채널들이다.
실리콘밸리=김재후 특파원/김남영 기자 hu@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