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사장 김종갑·사진)이 앞으로 해외 석탄화력발전 사업을 신규로 하지 않겠다고 28일 발표했다. 대신 신재생에너지, 가스복합 등 저탄소·친환경 해외 사업 개발에 집중하기로 했다. 에너지 전환 시대에 맞춰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구하기 위해서란 설명이다. 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 수요가 여전히 적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석탄발전 관련 업계는 한전의 이번 조치로 큰 손실을 볼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전은 해외에서 진행하고 있는 석탄화력 사업 4건 중 필리핀 팡가시난 사업도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타바메시 사업도 중단하는 방향으로 재검토하기로 했다.
다만 인도네시아 9·10, 베트남 붕앙2 사업은 계획대로 투자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한전 관계자는 “상대국 정부 및 사업 파트너들과의 신뢰 관계, 관련 기업 생태계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전의 해외 석탄화력 사업은 2050년 이후 모두 종료될 전망이다. 한전은 “운영 중인 해외 석탄화력발전 사업도 국제 환경기준보다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친환경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전은 또 이사회 산하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추진위원회’를 설치해 ESG 분야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전의 석탄발전 수출을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은 올 들어 정치권에서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공공기관의 해외 석탄발전 사업 참여를 원천 금지하는 내용의 ‘해외석탄발전투자금지법 4법’을 지난 9월 말 발의했다.
이 법이 논란이 되자 정부는 관계부처 간 협의를 통해 공기업의 해외 석탄발전 투자에 대한 원칙을 수립하기로 했다. 국내외 비난 여론과 여당의 압력 등을 고려할 때 공기업의 해외 석탄발전 투자가 사실상 금지되는 쪽으로 결론 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삼성물산이 지난 27일 비금융 주요 기업 중 첫 번째로 ‘탈석탄 선언’을 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장기적으로 석탄발전업계의 위축과 관련 기업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석탄발전 수주를 주요 먹거리로 삼고 있는 두산중공업과 협력 중견·중소기업이 대표적이다.
일각에선 한전 대신 기술력이 낮은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석탄발전 사업을 주도하면 지구 환경오염이 오히려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국내 기업은 석탄발전 수출 때 탄소 배출량을 대폭 줄인 ‘초초임계압’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LNG발전과 비교해도 탄소배출량이 크게 높지 않은 친환경 기술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석탄발전 수출에 강력한 규제를 적용하면서도 이 기술을 사용한 프로젝트는 제한하지 않고 있는 이유다. 이런 기술을 갖추지 못한 중국 기업들이 한전의 석탄발전을 대체하면 탄소배출량을 크게 늘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성수영/구은서 기자 syo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