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07.21017125.1.jpg)
주파수 할당은 일반 소비자와는 무관한 그들만의 리그였다. 정부와 통신사 간 분쟁도 별로 없었다. 이번엔 다르다. 내년 6월 사용 기간이 끝나는 2세대(2G)·3G·4G 이동통신 주파수 재사용료 산정을 앞두고 대립이 격화하고 있다. 급기야 통신 3사가 공동 건의서를 제출하며 정부에 반기를 들었다. 정부 방침대로라면 4조원가량의 재사용료를 내야 하는데, 부당하다는 지적이다.
통신사가 제시한 적정 가격은 실제·예상 매출의 3%를 반영한 1조6000억원 정도다. 하지만 정부가 과거 경매가의 50%를 반영하면 2조8000억원, 100%를 적용하면 4조원대로 불어난다. 통신사들은 “차라리 경매 방식을 도입하자”고 역제안까지 했다. 경쟁을 통해 가격이 오르더라도 제대로 가치를 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논리싸움이 치열하지만 결국 핵심은 돈이다. 과도한 주파수 비용은 통신 소비자들에게도 좋을 게 없다. 준조세 성격의 주파수 비용은 정보통신진흥기금과 방송통신발전기금 재원으로 쓰인다. 차라리 통신사 부담을 줄여 투자 여력을 키우는 게 소비자 편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정부는 통신사가 막대한 주파수 비용을 내고도 5G 투자 확대와 서비스 품질 개선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기대하는 모양이다. 아니면 투자와 요금 인하를 압박할 다른 수단이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
그간 정부의 행보로 볼 때 주파수 재할당도 시장 기대와 동떨어진 결론이 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명심할 게 있다. 정부가 바라는 5G 성공을 이끌 주체는 통신사라는 점이다. 앞으로 매출이 정체된 상황에서 5G 투자는 늘리고, 비주력 주파수에도 막대한 비용을 쏟아붓게 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소비자 편익이 줄어드는 피해가 나타나지 않을까 우려된다. 정부는 주파수만 보지 말고 통신산업은 물론 소비자 후생, 5G 생태계까지 종합적으로 살피는 통신정책을 펼쳐야 한다.
tetriu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