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AA.24336887.1.jpg)
8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용산구 이촌동 아파트 시세(3.3㎡당)는 지난달 4772만원으로 6월 4584만원 대비 188만원가량 상승했다. 전용면적 84㎡ 아파트 기준 4개월여 만에 6400만원이 껑충 뛰었다.
가격 상승을 견인하는 것은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단지들이다. 동부이촌동은 지은 지 20년 안팎인 중층 아파트가 많아 재건축 대신 리모델링 추진이 활발하다.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떨어져 사업 진행이 부진했지만, 올해 들어 조합설립이 본격화되고 시공사 선정에 나서는 등 속도가 붙고 있다.
리모델링 대장주로 꼽히는 건영한가람(2036가구) 전용 84.96㎡는 지난 9월 19일 18억4000만원에 손바뀜했다. 6월 대비 1억원가량 상승한 가격이다. 해당 주택형에서 최근 이뤄진 두 번의 거래가 모두 신고가를 경신했다. 인근 P공인 관계자는 “지난 8월 추진위원회가 설립되는 등 리모델링이 본격화하면서 찾는 사람은 늘었지만 매물을 내놓는 집주인이 많지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한가람 리모델링 추진위는 내년 중 조합 설립과 시공사 선정을 완료하겠다는 목표다.
이촌코오롱 59.8㎡ 역시 지난달 7일 14억2500만원에 거래돼 직전 최고가보다 2500만원이 더 올랐다. 이촌코오롱은 8월 강촌과 공동리모델링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는 소식에 매수세가 더 몰리고 있다. 이 일대는 건영한가람을 비롯해 강촌(1001가구), 이촌코오롱(834가구), 대우(834가구), 우성(243가구) 등 5개 단지가 리모델링을 추진 중이다. 리모델링이 완료되면 일대가 대규모 새 아파트 촌으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촌동 리모델링 추진 단지 중 가장 속도가 빠른 현대아파트(653가구·사진)도 지난달 롯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롯데건설의 리모델링 사업 최초로 고급 주거 브랜드인 ‘르엘’이 도입된다. 이 아파트 99.1㎡는 지난 9월 16억9000만원에, 121.4㎡는 18억4998만원에 거래되며 모두 신고가를 새로 썼다. 1974년에 지어진 이 단지는 리모델링을 통해 최고 15층, 750가구로 새로 지어진다.
리모델링은 재건축·재개발과 달리 주택법을 적용받아 절차와 기준이 비교적 간단하다. 기준연한이 재건축의 절반인 15년이고 주민 동의율(66.7%), 안전진단 기준(B등급) 등 장벽이 낮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