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AA.24394138.1.jpg)
인천시는 폐기물 발생지 처리 원칙을 주장하며 수도권 3개 시·도 중 가장 먼저 자체 매립지 선정 작업에 나섰다. 후보지는 지난달 공개 모집에 신청한 기업 보유의 민간 부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2015년 환경부와 수도권 3개 지방자치단체는 수도권매립지 3-1공구의 매립이 종료(2025년 8월)되기 전 각자 대체 매립지를 찾기로 했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쓰레기 독립선언에 이어 실제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자체 매립지 선도 결정, 친환경 매립시설 ‘에코랜드’ 조성, 폐기물 95% 재활용 추진, 매립지 인근 지역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 등이다. 수도권 64개 기초자치단체에 ‘자체 폐기물 처리대책 마련 촉구’ 공문을 발송하고, 건설·사업장 폐기물 중간처리업체 37곳에 자체 처리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지난해 폐기물 반입 비율은 서울 42%, 경기 37%, 인천 21%였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AA.24394139.1.jpg)
그러나 이 같은 인천시의 거침없는 행보는 여러 난관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2015년 합의 당시 대체 매립지 선정이 불가능할 경우 기존 수도권매립지의 잔여 부지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을 내세우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2016년부터 3개 시·도는 대체 매립지에 대한 논의를 거쳐 규모, 폐기물 처리 방법, 후보지에 대한 주민 지원과 홍보 방법 등을 논의해 왔다”면서 “인천시의 독자적인 행동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하며, 대체 매립지를 공동의 문제로 인식해 함께 대처할 수 있도록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시의회 등 지역에서도 “해당 지역 주민들과 각 군·구에 어떤 지원을 할지 구체적인 대책과 진솔한 소통 없이 매립장 후보지만 발표하면 더 혼란스러운 상황이 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노태손 인천시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부평2)은 “주민들이 매립지와 소각장은 혐오시설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지원에 대한 설명과 홍보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30년 가까이 이어져 온 인천의 희생을 끝내기 위해 수도권매립지 종료 시계는 한 치의 망설임과 물러섬 없이 달려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천=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