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AA.24391936.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AA.24394222.1.jpg)
차기 정부가 집중 투자할 부문은 탄소 저감 기술과 차세대 건축 소재, 수소 에너지, 차세대 원자로, 전기차 배터리 등이다. 바이든은 집권 1기(4년)에만 청정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2조달러를 투입하기로 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10%에 달하는 금액이다.
바이든의 이런 공약을 실현하기 위해 환경주의자들이 인수위원회에 대거 합류했다. 환경보호청(EPA)을 이끌 패트리스 심스 변호사는 비영리 환경단체 ‘지구 정의’에서 활동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EPA 법률고문을 지낸 환경법 전문가 조 고프만 변호사도 인수위에서 활동 중이다.
바이든은 특히 친환경 자동차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관심이 많다. 자동차업계가 고용을 많이 창출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제조업이어서다. 바이든은 인수위 홈페이지에서 “미국 자동차를 다시 세계 1위로 만들 것”이라고 했다. 핵심은 친환경차 기반시설 구축이다. 전기차 충전소를 2030년까지 미 전역에 50만 곳 설치하기로 했다. 친환경차 부문에서만 1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이다.
별도로 차기 정부가 간접적인 환경 규제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친환경·저탄소 기업이 생산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다양한 혜택을 부여하는 방식을 통해서다.
하지만 바이든의 친환경 공약이 지금 계획대로 추진되기 힘들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대선 격전지였던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위스콘신 등 러스트벨트 블루칼라의 집단 반발 때문이다. 자동차, 정유 등이 밀집해 있는 이들 지역에선 바이든의 친환경 정책이 일자리를 줄일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러스트벨트의 민주당 의원들은 “과도하게 밀어붙였다간 2년 뒤 중간선거에서 러스트벨트 민심을 잃을 수도 있다”며 바이든 측에 속도 조절 필요성을 주문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상원을 공화당이 장악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민주당이 추가 부양책을 얻어내는 대신 친환경 관련 법안을 축소하는 협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석유 시추업체인 콘티넨털리소시스의 해럴드 햄 회장은 “환경 정책을 저지하기 위해 의회 내 동지들을 규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WSJ는 “인수위엔 가스 수출업체 임원을 지낸 업계 인사도 많다”며 “바이든이 좀 더 온건한 입장을 취하도록 압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전했다.
뉴욕=조재길 특파원 roa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