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AA.24461744.1.jpg)
이병훈 민주당 의원이 근로자를 부당해고한 사용자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발의한 근로기준법 개정안은 “민형사 책임을 엄격히 구별하고 인과관계가 있는 실손해액을 배상하도록 규정하는 한국의 법체계와 맞지 않는다”고 지적받았다.
정의당의 당론 1호 법안인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안은 헌법상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될 소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위원 보고서는 “산업안전보건법 등 기존 법안에 비해 처벌 수위와 배상액 등이 과도하게 높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미 21대 국회에서 처리된 뒤 시행과정에서 부작용이 나타나는 규제 법안들도 눈에 띈다.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등을 도입하는 내용의 ‘임대차 3법’은 오히려 전세대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경제계는 국회에 계류돼 있는 ‘기업규제 3법(상법·공정거래법 개정안, 금융그룹감독법 제정안)’도 마찬가지로 통과하면 해외 투기자본의 경영권 공격 등 부작용이 속출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인 서영교 민주당 의원은 소방견의 명칭을 기존 ‘인명구조견’에서 ‘119구조견’으로 변경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박재호 민주당 의원은 국가재건최고회의령 폐지법률안 3건, 국가재건최고회의포고 폐지법률안 2건 등을 ‘쪼개기’ 발의했다. 이미 1963년 효력을 상실한 국가재건최고회의조치법과 2009년 폐기된 국가재건최고회의법에 관련 명령과 포고 등을 정비한다는 이유에서다. 박 의원실 관계자는 “1호, 6호, 24호 등으로 나눠져 개별법으로 인정되는 만큼 폐지법률안도 각각 내야 한다는 법제처와 국회법제실의 의견에 따른 것”이라며 “입법 실적쌓기용이라고 일컫는 ‘쪼개기 법안’과는 차이가 있다”고 해명했다.
지역 챙기기와 선심성 법안도 남발됐다. 김승남 민주당 의원은 자유무역협정(FTA)으로 혜택을 본 기업들로부터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을 강제로 걷는 내용의 농어업인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양금희 국민의힘 의원은 여행, 예식, 외식, 항공 등 예약 취소로 발생한 위약금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금액의 15%를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하는 소득세법 개정안을 내놨다. 대규모 재정 투입을 필요로 하는 법안을 발의하며 비용추계서조차 제출하지 않는 사례도 있었다. 소병훈 민주당 의원은 기본소득을 도입하는 내용의 기본소득법 제정안을 발의하면서 비용추계서를 첨부하지 않았다.
의원들은 쏟아지는 법안으로 인해 심도 있는 법안 심사가 불가능하다고 호소한다. 한 초선 의원은 “한꺼번에 워낙 많은 법안을 심사하니 일부 법은 내용 숙지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사전입법영향분석 제도 등을 도입해 의원 입법의 내실화를 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하중 입법조사처장은 지난달 보고서를 내고 “사전입법영향분석 제도의 도입이 의원 입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소현/성상훈 기자 alp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