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트럼프 캠프는 보도자료를 내고 "위스콘신주 밀워키와 데인 카운티에서 재검표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캠프 측은 위스콘신주 선거관리위원회에 재검표에 드는 비용 300만달러(약 33억원)를 송금했다.
캠프는 또 "위스콘신주에서 부재자 투표 용지가 불법적으로 발급되고 변조됐으며 유권자 신원을 확인하도록 한 법률을 피해갈 수 있도록 정부 공무원들이 불법적인 조언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위스콘신주 선관위는 "트럼프 캠프가 재검표 비용의 일부(300만달러)를 입금했다"고 확인했다.
두 카운티에선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57만7455표를 얻었으며 주 전체에선 트럼프 대통령보다 2만608표 앞섰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위스콘신에서 0.6%포인트 차이로 뒤졌다고 전했다. WP는 "두 카운티에서 약 80만4000명이 투표했다"면서 "두 카운티만 재검표를 하면 비용이 절감되지만, 격차를 좁힐 수 있는 충분한 표가 나올 가능성은 훨씬 작다"고 말했다.
주 선관위원장의 승인을 거쳐 재검표는 이르면 19일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재검표는 선관위가 선거 결과를 인증해야 하는 12월 1일까지 마무리돼야 한다. 위스콘신주법에 따르면 1%포인트 이하의 차이로 질 경우 패배한 쪽이 재검표를 요구할 수 있게 돼 있다. 0.25%포인트 이하로 패배했을 때는 주에서 자체 비용으로 재검표를 하지만, 그보다 격차가 클 때는 재검표를 신청한 쪽에서 선불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앞서 주 선관위는 전체 재검표 비용이 790만달러(약 87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검표 비용을 낸 건 주법 규정에 따라 득표율 차가 0.25%포인트 이상일 때는 재검표를 요청한 쪽에서 비용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처럼 거액을 들여 재검표를 요청했지만 결과가 뒤집힐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 대선 때 질 스타인 녹색당 후보가 위스콘신주 재검표를 요청했고, 그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표가 131표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CNN은 전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