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AA.24575916.1.jpg)
한국판 뉴딜, 탄소중립 2050, 규제개혁과 함께 권력기관 개혁을 언급한 대목부터 예사롭지 않다. 청와대는 연말 공직사회 기강에 대한 원론적 언급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추 장관의 윤 총장 업무배제 결정에 검찰이 집단으로 반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조직 이기주의’ ‘낡은 관행’ 발언이 사실상 검찰을 겨냥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이 “혼란스럽게 보이지만 대한민국이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고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밝힌 부분도 눈길을 끌었다. 법무부와 검찰의 갈등을 권력기관 개혁을 위한 ‘성장통’으로 인식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청와대는 대통령 발언에 대한 과도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연말 방역에 대한 당부와 공직사회가 각별히 유념해야 할 점을 원론적으로 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도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주례 회동에서 문 대통령에게 추 장관과 윤 총장의 동반 사퇴 필요성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정 총리는 문 대통령에게 “윤 총장 징계 문제가 국정 운영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며 “징계 절차와 상관없이 윤 총장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를 자초한 만큼 자진 사퇴하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 장관에 대한 직접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국정 운영 부담을 거론한 것 자체가 동반 사퇴가 필요하단 메시지라는 해석이 나온다.
일각에선 검찰의 조직 이기주의에 대한 질타성 메시지를 통해 연말까지 권력기관 개혁을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도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따라 윤 총장뿐 아니라 추 장관의 거취에 대해서도 정기국회가 끝난 뒤 어떤 식으로든 정리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여당 내에서도 추 장관과 윤 총장의 갈등이 임계치에 달했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판사 사찰’ 의혹을 명분 삼아 윤 총장에게 사퇴 공세를 펴고 있지만 이상민 의원 등 일부 중진 의원을 중심으로 동반 사퇴 불가피론도 나오고 있다. ‘추·윤 갈등’에 따른 피로감이 더 길어질 경우 권력기관 개혁이라는 본질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추 장관이 검찰총장 해임안 재가를 요청할 경우 대통령이 수용할 것이란 얘기가 거론되는 이유다.
여권 일각에선 검찰총장 해임안 재가 이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개정안 처리를 통해 추 장관의 퇴로를 열어주자는 의견도 있다. 여권 한 관계자는 “검찰개혁의 제도적 완수라는 명분을 내세워 추 장관이 거취를 결정하는 모양새로 대통령의 부담을 덜어주자는 얘기도 있다”고 전했다.
김형호/강영연 기자 chs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