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0D.24586352.1.jpg)
치료는 엄지발가락의 돌출된 정도(무지외반 각)을 측정하여 경도의 경우에는 발목이 넓은 신발과 압력을 줄여줄 수 있는 인솔 등을 이용하여 변형 지연 목적의 보존치료를 시행한다. 그러나 중등도 이상 변형은 수술적 교정이 불가피하다. 만약 수술에 대한 두려움으로 치료를 기피하거나 미룬다면 필연적으로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상황에 놓인다.
변형이란 지연은 가능하나 멈출 수 없다. 따라서 방치 시 중등도, 중증, 양측 변형으로 나타난다. 또한 발은 신체에 2% 남짓한 작은 면적이나 어떤 부위보다 많은 신경, 인대, 혈관이 존재하므로 가장 큰 구조물인 엄지발가락이 변형될 경우 주변 조직손상에 의한 합병증이 유발된다. 마지막으로 보행 시 체중의 60%를 엄지발가락에 집중되는데 무지외반증 환자의 엄지는 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발목, 무릎, 고관절, 척추에 2차 합병증과 보행불균형에 의한 곧 외상 위험도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수술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다면 족부 전문가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 보길 바란다. 대한족부족관절학회 회장과 동양인 첫 족부 SCI 저널 Foot and Ankle International 편집위원을 역임한 주인탁 박사와 정형외과 SCI 저널 AJSM 논문리뷰어 및 현) 대한족부족관절학회 국제/개원분과 박의현 위원은 수 만례의 무지외반증 환자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환자 개개인에 맞춤형 교정술 도입해 치료부담, 성공률 개선에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
주인탁 박사(연세건우병원)는 “손자병법에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란 말처럼 수 만례에 달하는 무지외반증 수술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환자 개개인의 발병원인, 변형각도, 직업과 생활환경 요인에 맞는 맞춤형 교정술 도입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개인 맞춤형 교정술의 장점은 무엇일까? 박의현 위원(연세건우병원)은 높은 수술성공율과 교정의 만족도라고 말했다. “맞춤형 수술은 말 그대로 한 명의 환자만을 위한 수술법이다. 변형과 내부 상태, 직업/생활환경 등 수술 이후 작은 변수까지 고려해 최소침습이나 복합교정술을 시행한다. 따라서 수술 성공률과 교정 후 발의 모양 그리고 수술 이후 생활에서 작은 불편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주인탁 박사의 말처럼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란 말이 있다. 똑같은 질병이라도 환자의 개인환경에 따라 병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단 한번의 완벽한 치료를 바란다면 당신의 발 상태와 상황에 맞는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족부전문가들을 꼭 찾길 바란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