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01.24627619.1.jpg)
5일 중국매체 우한(武漢)만보와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중국공정원 왕쥔즈(王軍志) 원사는 전날 후베이성 우한에서 열린 '제8차 세계 중서의학 결합대회'에서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1~2주 내에 큰 뉴스가 발표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왕 원사는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만든 '연합 예방통제 메커니즘'의 과학연구팀 신개발 전문가 조직 부조장이기도 하다.
왕 원사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 전세계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은 214개다. 이 가운데 51개는 임상연구에 들어갔고 3차 임상시험에 돌입한 것은 14개다. 중국의 경우 14개가 임상시험에 들어갔고 3차 임상시험 중인 것은 6개며, 이 가운데 4개는 불활성화 백신이다.
불활성화 백신은 복제능력을 제거한 바이러스를 이용해 체내에 항체를 생성하는 방식의 백신이다. 면역력 지속 기간이 제한적이고 오랜 시간에 걸쳐 많은 양을 접종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부작용 우려도 있어 최근 백신 개발에서는 사용이 드물다는 평가가 나온다.
왕 원사는 "중국은 불활성화 백신 분야 기술이 비교적 좋다"며 "불활성화 백신은 자연 상태의 바이러스 구조와 가장 가까운 만큼 비교적 강한 인체 면역반응을 끌어낼 수 있고 안전성도 통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초보적 수준에서 양호한 안전성과 면역력 생성 결과를 확인했다"며 "어떠한 기술을 썼든 가장 중요한 것은 병원체의 특성 및 적절한 공정 채택, 안전하고 유효하며 질과 양을 통제 가능한 백신 제조"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불활성화 백신은 생물안전 3급(P3) 실험실에서 생산해야 한다"며 "대규모 생산이 필요할 경우 실험실 생물안전 및 검측기술이 세계 일류 수준이어야 하며, 이 부분에서 중국은 매우 성공적"이라고 부연했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