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01.24676289.1.jpg)
직장인이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를 사기 위해서는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26년치를 모아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상승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3년전과 비교하면 10년이 더 늘어났다. 사실상 취업해 은퇴할 때까지 한푼도 안써야 집을 살 수 있다는 얘기다.
10일 한경닷컴 뉴스랩이 KB부동산의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과 국세청 국세통계연보의 근로소득자 평균 연봉을 산정해 분석한 결과, 직장인이 연봉을 모두 쏟아 서울 아파트 한 채를 사는 데 걸리는 기간은 2017년 5월 16년에서 2020년 11월 26.5년으로 늘어났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01.24676683.1.png)
연봉으로 아파트를 살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내는 수치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값을 국내 직장인 평균 급여액으로 나눈 결과다. 이러한 셈법을 통상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 즉 PIR(Price to Income Ratio)이라고 부른다. PIR은 가구가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았을 때 주택을 살 수 있는 기간을 가리킨다.
2017년 상반기 당시 서울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6억708만원이었는데, 이를 당해년도 직장인 평균 연봉인 3520만원으로 나눌 경우 16.25년이 나왔다. 직장인이 연봉을 모두 모아서 서울서 집 사는 데 16년 3개월 가량이 소요됐다는 말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 수치가 크게 늘었다. 서울 평균 아파트 매매 가격이 10억을 돌파하는 등 급등세를 이어갔기 때문이다. 한경닷컴이 국세청의 국세통계연보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3년부터 가장 마지막으로 발표된 2018년까지 근로소득자의 연 평균 급여액은 3~5% 가량 늘었다. 2019년과 2020년 평균 연봉 상승률을 2년 연속 3%로 잡을 경우 2020년 평균 연봉은 3873만원으로 추산된다. 만약 최대 5% 늘어날 경우, 올해 평균 연봉은 최대 4025만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평균 연봉 상승률을 낮게 3%로 가정할 경우, 올해 서울 아파트를 매매하는 데 직장인이 연봉만 쏟아부어야할 기간은 총 26년 6개월로 나타났다. 연봉 상승률이 2년 연속 5% 늘어난 경우를 가정해도 25년 6개월으로 비슷한 수준이다. 일반 직장인이 은행 도움없이 월급만으로 서울 시내 아파트를 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 진 셈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01.24676720.1.png)
이렇게 수치가 급등한 것은 서울 아파트값 폭등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3년 7개월 간 서울 아파트 평균값은 4억2059만원 늘어났다. 비율로 따져보면 69.3% 급상승했다.
지난달 정부가 서민 및 중산층 주거안정지원방안으로 공급 대책을 발표했지만 이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값은 KB부동산 기준 10억2767만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로써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값은 지난해 5월부터 19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정부가 이 기간 동안 11개의 부동산 정책을 내놨지만 시장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두 전문가들은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는 의견이 엇갈렸지만, 정부와 여당의 부동산 정책 기조에 변화가 없을 것이 뚜렷해 변 후보자와는 별개로 시장을 안정시키기 어렵다는 데는 입을 모았다. 조 교수는 "변 후보자는 실무 경험을 가진 사람으로 최근 역세권에 고밀도 공급 추진 등 공급에 필요한 부분을 언급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기존 당정의 강력한 부동산 정책 기조를 타개해나갈 수 있을지는 걱정"이라고 전했다.
권 교수는 "후보자는 도시계획 전문가지 시장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시장을 정확하게 진단해 시장이 무엇을 원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그간 후보자가 줄곧 주장해왔던 토지공개념이나 개발이익 환수, 임대 공급 증가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이번 정부의 기조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