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AA.24707679.1.jpg)
예금 금리에 이어 적금 금리마저 연 0%대로 내려가면서 목돈을 마련할 길이 점점 좁아지고 있다. 기본금리로 연 0%를 제시하는 적금 상품이 전체의 45%에 달한다. 하지만 아직도 짭짤한 금리로 유혹하는 상품들이 남아 있다. 연 3%대도 찾을 수 있고 특정 조건만 채우면 연 10%까지도 가능하다. 다만 최고 수준의 금리는 월납입액이 제한되는 약점이 있다. 일정 금액 이상의 카드를 써야 한다는 조건도 붙어있다. 그것도 ‘생판 남처럼 여겼던’ 카드를 사용해야 하는 귀찮음을 극복해야 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AA.24709287.4.jpg)
케이뱅크가 신한카드와 같이 출시한 ‘핫딜적금×신한카드’도 최대 연 8.2%까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기본 연 1.8%에 첫 입출금통장 개설 후 10일 이내 해당 상품을 들면 연 0.5%포인트를 보태준다. 적금에 가입하고 내년 3월까지 15만원 이상만 쓰면 연 6.2%포인트를 준다. 카드 조건만 충족해도 일반적인 은행 적금상품 금리의 여섯 배 가까이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적금 가입일 기준 6개월간 신한카드를 쓰지 않으면서 온라인 채널로 가입한 회원만 적금을 들 수 있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우체국과 신한카드가 함께 내놓은 적금도 있다. 우체국·신한 우정적금은 기본금리 연 0.95%에 최대 연 7.05%포인트 우대금리를 주는 상품이다. 신한카드 6개월 이상 미이용 회원이 가입한 달을 포함해 4개월 동안 16만원만 쓰면 연 6.6%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보태준다. 우체국 적금 첫 거래(연 0.1%포인트), 자동이체 납입(연 0.2%포인트), 신한카드 결제대금 출금(연 0.2%포인트)은 덤으로 받을 수 있는 우대금리다.
대다수 상품이 연 0%대로 내려간 정기예금이지만 연 1%를 웃도는 상품을 찾을 수 있다. 케이뱅크의 코드K정기예금(연 1.3%)과 SH수협은행의 헤이정기예금(연 1.2%)은 별다른 조건 없이 금리를 준다.
신협이나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도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는 주요 루트다. 연 14.0%의 이자소득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다. 상호금융권으로 알짜 상품을 찾을 때 유리한 점은 전국에 1000개가 넘는 지역 금고마다 금리나 월 납입한도가 다르다는 점이다. 새마을금고 상상뱅크 앱이나 신협 온뱅크 앱에서 지역 금고마다 제공하는 금리와 월 납입한도를 찾아볼 수 있다. 상상뱅크 정기적금은 연 2.0%를 웃도는 금리를 주는 지역금고들이 적지 않게 있다. 높은 기본금리에 이자소득세도 면제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혜택은 더 큰 편이다. 지역 금고에 따라서는 우대금리를 주는 곳도 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