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은 ‘절체절명’ ‘물러설 곳 없는 상황’ 등의 발언을 통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위기감을 나타냈다. 종교기관, 요양원 등 특정 시설이나 클러스터 중심이던 이전과 달리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 내 생활밀착형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점이 청와대의 고민이다.
문 대통령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3단계로 높이는 것은 마지막 수단”이라고 했지만 확산세가 꺾이지 않으면 3단계 격상은 불가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K방역의 성패가 향후 1~2주일간의 확산세 여부에 달렸다”며 방역총력전 태세로 전환한 것도 현 단계에서 꺾지 못하면 경제·사회적 파장이 걷잡을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문 대통령은 “방역모범국으로 꼽혀온 K방역의 성패를 걸고 총력으로 대응해야 할 시점”이라며 “우리 방역시스템의 강점을 백분 활용해 단기간에 코로나 확산세를 꺾는 데 집중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역학조사 지원인력 긴급 투입, 임시선별소 설치, 검사량 확대와 신속항원조사 등 특단의 대응조치를 지시했다. 이날 회의에는 정세균 국무총리를 비롯해 10개 관계부처 장관이 참석했고 나머지 장관들과 단체장 등은 화상으로 참여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열린 수도권방역회의 긴급점검회의에서 44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한 것과 관련, “드디어 백신과 치료제로 긴 터널의 끝이 보인다”고 말했다. 세계가 지난 1년여간 벌여온 코로나19와의 전투에서 활로가 열렸다는 의미지만 최근의 국내 상황은 문 대통령이 밝힌 것처럼 1월 20일 코로나 국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최대 위기로 치닫고 있다. 치료제 개발이 연말 또는 내년 초께로 예상되는 가운데 코로나 백신도 2~3월께 인도받을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그때까지 국내 코로나 확산세를 제어하는 게 정부 당국의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문 대통령은 지난 12일 “정부가 국민들의 큰 불편과 경제적 피해를 감수하면서 방역 강화 조치를 거듭하고서도 코로나 상황을 조속히 안정시키지 못해 송구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사과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