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군 당국은 지난 4일 하반기 ‘동해 영토수호 훈련’을 시행했다. 해군과 해경의 함정 및 항공기가 동원된 가운데 공군 전력과 상륙부대인 해병대는 참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 6월 실시된 상반기 훈련에 비해 적은 전력이다. 상반기 훈련에는 함정 7∼8척과 공군의 F-15K를 포함한 항공기 4∼5대가 참가했다.
독도방어훈련은 민간선박의 영해 침범과 군사적 위협 상황을 가정해 진행되는 훈련이다. 군과 해경은 1986년부터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씩 독도방어훈련을 하고 있다. 통상 해군의 한국형 구축함(3200t급)을 비롯한 함정, P-3C 해상초계기, 공군의 F-15K 전투기 등이 참가한다. 지난해부터는 훈련의 명칭도 ‘독도 방어 훈련’에서 ‘동해 영토수호 훈련’으로 변경해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군 당국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 결정 직후 예년의 두 배 정도 규모로 훈련을 진행했다. 당시 훈련 규모는 1986년 훈련을 시작한 이래 사상 최대였고 해군 이지스 구축함과 육군 특수전 병력도 처음으로 참가했다. 특히 한국 최초의 이지스 구축함이자 가장 큰 전투함인 세종대왕함(7600t급)도 훈련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군 당국은 당시 사진과 영상을 언론에 제공하는 등 훈련을 공개적으로 진행했다.
이를 두고 정부가 대일(對日) 강경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례적으로 고민정 당시 청와대 대변인이 직접 “이번 훈련은 그야말로 우리의 주권과 영토를 수호하기 위한 훈련”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당시 일본 외무성은 “극히 유감이며 훈련 중지를 요구한다는 취지로 강하게 항의했다”고 밝혔다.
올해 훈련이 사상 최대 규모로 공개적으로 훈련을 진행했던 지난해와 상반되며 정부가 일본의 반발을 의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미·일 삼각공조를 중시하는 조 바이든 미국 차기 행정부가 출범을 앞둔 가운데 정부는 최근 부쩍 한·일 관계 개선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달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은 사실상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방일해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에게 ‘문재인·스가 선언’을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양국이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인식차를 여전히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연례적인 훈련으로 일본을 자극하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