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AA.24834242.1.jpg)
정부는 노선별로 신호 체계가 서로 다른 국내 철도신호제어시스템을 전국적으로 일원화하는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2) 사업을 추진 중이다. 자체 기술력으로 철도신호제어시스템의 통합 솔루션을 구축한 대아티아이는 이 사업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
대아티아이는 KTCS-2 사업의 첫 번째 상업 운행선인 전라선의 익산역~여수EXPO역 구간 3개 공구를 맡았다. 지난 5월 국가철도공단이 발주한 KTCS-2 시범 사업의 첫 번째 사업 대상자로 선정되면서 본격적으로 KTCS-2 사업에 뛰어들었다.
철도신호제어시스템은 승객의 안전과 직결되는 안전망인 만큼 시스템 구축에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된다. 대아티아이는 2011년 유럽 외 국가에선 최초로 국제 안전무결성 최고 등급인 SlL-4를 획득했다. 이어 2016년 열차신호제어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CPU) 국산화 및 SIL-4 인증에 성공하는 등 유럽 선진국 수준에 버금가는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대아티아이는 지난달 코레일이 발주한 한국형 도시철도신호시스템(KTCS-M) 일산선 시범사업 1공구 지상 및 차상 사업 수주에도 성공했다. 정부는 이번 시범 사업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전국 모든 도시철도 노선으로 KTCS-M을 확대할 방침이다.
대아티아이는 2010년부터 매년 매출의 7%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며 철도신호제어기술 플랫폼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 고속철도(KTX)·수서고속철도(SRT) 관제시스템 구축을 비롯해 자동방호시스템(ATP), 전자연동장치(EI), 자동열차검지장치 등 철도신호제어시스템의 주요 부문을 단계적으로 국산화했다. 최 회장은 “기술·제품 국산화를 통해 대아티아이가 창출한 수입대체효과만 1조5000억원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올 3분기 이 회사의 수주 잔액은 사상 최고인 2400억원을 돌파했다.
최 회장은 “유럽에선 고밀도·고속운전 구현을 위해 이미 자율주행 열차시스템을 시험 운행 중”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향후 10년간 자율주행 열차시스템의 국내 도입을 위한 기술 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