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26억 회.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스타트업 샌드박스네트워크에 소속된 유튜버가 한 달에 올리는 동영상 조회수다. 국내 유튜브 트래픽의 약 10~15%가 소속 유튜버를 통해 나온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장삐쭈, 떵개떵, 라온 등 구독자 100만 명 이상의 굵직한 유튜버가 소속돼 있다.
활동명 ‘도티’로 잘 알려진 나희선 이사와 함께 회사를 국내 대표 MCN 기업으로 키워낸 이필성 샌드박스네트워크 대표는 “먹방 등 ‘K컬쳐’에 대한 해외 시청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국내서 키운 노하우를 토대로 중국 등 해외 시장을 본격 공략하겠다”고 말했다.
샌드박스네트워크에는 현재 약 410개 크리에이터 팀이 소속돼 있다. 초기엔 게임 콘텐츠에 집중했지만 미용, ‘먹방’, 예능 등 차츰 다양한 영역으로 소속 크리에이터의 범위를 넓혔다. 회사 규모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8년 282억원 규모였던 매출은 지난해 608억원으로 2배 이상 성장했다. 올해엔 9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 대표는 “회사의 가장 큰 자산은 소속된 크리에이터”라며 “이들이 활동 전반을 믿고 맡길 수 있는 회사로 키우자는 ‘서비스 정신’이 통했다”고 말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소속 크리에이터를 활용한 IP 사업도 확장하고 있다. 출판, 공연 사업에 잇달아 진출했다. 지난달에는 케이블TV ‘샌드박스플러스’도 개국했다. 내년까지 10개 이상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선보이는 게 목표다. e스포츠 법인 샌드박스게이밍을 통해 게임 ‘카트라이더’, ‘리그오브레전드(롤)’ 팀도 운영하고 있다.
최근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소속 크리에이터의 윤리의식을 높이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대표는 “내외부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크리에이터가 영상을 올리기 전 지켜야 할 ‘체크리스트’ 형태의 윤리 강령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콘텐츠의 시장성은 이미 검증됐다는 게 샌드박스네트워크의 판단이다. 현재 회사가 올리는 유튜브 조회수의 약 40%가 해외에서 나오고 있다. 정식으로 접속하는 게 제한된 중국을 제외하면 해외 국가 중에선 인도·인도네시아·베트남의 조회수가 가장 많다. 이 대표는 “3년 후에는 해외 매출의 비중을 3~40%까지 끌어올리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최근 500억원 규모의 시리즈D 투자를 유치했다. 누적 투자금은 약 900억원이다. 회사 측은 내년 주요 사업부문에선 손익분기점(BEP)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투자금을 크리에이터 추가 확보와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공격적으로 투입할 예정이다. 이 대표는 “디지털 콘텐츠 광고 시장은 기존 방송 광고에 비해 여전히 저평가돼있다”며 “빠르게 커지는 유튜브 광고 시장을 토대로 기업공개(IPO) 초석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최한종/구민기 기자 onebe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