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29일 내놓은 ‘2020년 3분기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을 보면 3분기 ELS 신규 발행액은 9조8000억원으로 2분기보다 8000억원(7.5%) 감소했다. ELS 발행액은 지난 1분기 21조원에 달했으나 이후 두 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3분기 ELS 상환액은 14조6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9조5000억원(186.3%) 늘었다. ELS가 기초자산으로 삼은 글로벌 주요 증시가 일제히 상승하면서 조기상환 규모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2분기 1조8000억원에 불과했던 조기상환액은 3분기 11조3000억원까지 늘었다.
상환이 크게 늘어난 반면 신규발행은 줄어들면서 ELS 발행잔고는 9월말 기준 72조원으로 6월말 대비 5조2000억원(6.7%) 감소했다.
증권가에서는 ELS 조기상환이 크게 늘었는데 신규발행이 줄어든 것은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인다. ELS 투자자들은 조기상환을 받으면 다시 ELS에 재투자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ELS에 재투자되지 않은 금액 중 상당수는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현재 ELS의 가장 큰 경쟁자는 다름 아닌 주식 직접투자”라며 “개별 주식에 투자해도 손실을 볼 가능성이 적은 상황에서 연 3~5% 정도인 ELS 기대수익률은 다소 낮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ELS 투자자들의 위험선호 심리가 강해졌다는 건 유형별 통계에서도 드러난다. 3분기 원금보장형 ELS 발행액은 1조7000억원으로 2분기보다 3조2000억원이 줄었다. 반면 원금비보장형은 2조4000억원 늘어난 8조1000억원에 달했다.
3분기 ELS 투자자 평균 수익률은 연 3.1%로 전분기 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증권사들이 얻은 ELS 발행·운용 손익은 3021억원이었다.
ELS 시장 위축은 내년에도 상당기간 이어질 전망이다. 전 연구원은 “이미 지수가 많이 올랐다는 부담감에 투자자들이 쉽게 들어오지 못하면서 4분기에도 여전히 발행보다 상환이 많다"며 “내년에 주식이 조정을 받으면 ELS 투자수요가 살아날 수 있겠지만 고난도 상품판매와 헤지운용 등에 대한 규제 강화로 과거처럼 발행량이 크게 늘긴 어렵다”고 말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