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의 2021년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3개월 전 9408억원에서 최근 1조3448억원으로 42.9% 늘었다. 이 추정치대로 실적이 나오면 2020년 대비 증가율은 271.0%에 달한다.
대한유화와 금호석유의 2021년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각각 2859억원, 7801억원에 달했다. 3개월 전보다 각각 41%, 38.9% 늘었다. 화학업종은 2021년 실적 컨센서스가 한꺼번에 개선된 업종으로 꼽힌다.
실적 전망치가 개선됐지만 주가는 안 올라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아졌다. 롯데케미칼과 대한유화는 지난달 각각 2.13%, 5.93% 떨어졌다. 금호석유는 4.32% 올랐지만 이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10.89%)에는 못 미쳤다. 롯데케미칼, 대한유화, 금호석유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각각 9.3배, 6.5배, 7.9배로 코스피 화학업종 평균(55.5배)을 훨씬 밑돌고 있다.
이진명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2021년 중국을 중심으로 화학제품 수요가 반등하면 업황이 더 좋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화학제품의 원료인 에틸렌 수요는 경기 회복으로 6.5% 증가가 예상되지만 공급 증가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황유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기 전까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석유화학 제품 원료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며 “대한유화 등 일부 종목은 저탄소 제품의 매출 비중을 늘리며 친환경 기업으로서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 것도 긍정적”이라고 전망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관련뉴스